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피부에 좋은 겨울철 따뜻한 차


 

겨울철 문밖을 나서면 찬바람에 시달리다가 실내로 들어오면 건조한 온풍기 바람이 괴롭힌다. 추위도 쫓고 피부건강도 지켜줘 피부미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따뜻한 차가 있다. 수많은 종류의 차가 있지만 피부에 도움이 되는 기능들은 조금씩 다르다.

피부탄력을 회복하고 싶다면 로즈메리차가 좋다. 로즈메리는 허브의 일종으로 특유의 상큼하고 시원한 향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음식에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된다. 로즈메리에 들어 있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은 피부에 윤기와 탄력을 더해주고 혈액순환을 돕는다.

기미 제거엔 구기자차가 좋다. 구기자는 구수한 맛과 향이 특징으로 한약재로도 널리 사용된다. 간을 보호하고 해독작용을 도와 독소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구기자는 항산화 효과가 강해 피로로 인해 생긴 피부 트러블과 기미 등을 없애준다. 일반 차처럼 끓여 마실 경우 조금 진하게 우러나올 수 있는데 하루 한 잔 정도가 적당하다. 위가 약해 소화가 잘 안 되거나 설사를 할 경우 많이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미백에 관심이 많은 여성이라면 장미차가 도움이 된다. 장미차는 향과 색이 좋아 여성들에게 인기 만점이다. 장미차는 향과 색뿐만이 아니라 여성호르몬의 균형을 잡아주고 생리통에도 좋아 여성에겐 꼭 필요한 차라고 할 수 있다. 장미잎을 집에서 말려 활용할 수 있기에 만드는 과정도 어렵지 않다. 장미차는 비타민C가 레몬의 17배나 많이 들어 있어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촉촉한 피부를 원한다면 모과차가 제격이다. 모과차도 장미차처럼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는데 건조하기 쉬운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모과의 신맛은 피부를 탄력 있게 가꿔주는 역할도 한다. 사포닌과 비타민C, 구연산이 함유된 모과차 한 잔이면 피로를 어느 정도 풀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 모과차는 입덧을 완화하는 기능도 있어 임신부들도 즐겨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피부에는 체내 독소 제거도 중요하다. 몸 안에 독소가 쌓이면 여드름 등 각종 피부 트러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자차는 채내 독소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유자차는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주고 혈액순환 개선 작용을 해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것과 동시에 독소를 제거해준다. 비타민C 성분은 멜라닌 세포 활동을 억제해 기미나 잡티, 주근깨 예방도 돕는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