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설 연휴, 정부 추천 '앱' 통해 도로상황 확인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이번 설 연휴는 정부 추천 앱으로 도로상황, 정보 등을 알 수 있다.
 
국토교통부가 예상한 올해 설 귀성길 연휴 최장 소요시간은 서울~부산을 기준으로 7시간20분이다. 지난해 설보다 30분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보다 설 연휴가 길어졌지만 귀성차량이 몰리는 시점은 더 집중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설 연휴에 이동하기 전 스마트폰 앱 등을 활용해 교통정보를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정부에서 추천한 '공신력' 있는 앱들을 소개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설 연휴기간 귀성길과 귀경길에 유용한 앱 8개를 선정했다. 도로 관련 앱 4개와 대중교통 관련 앱 4개로 구성됐다.
 
도로 관련 앱으로는 국토부의 '통합교통정보', 도로공사의 '고속도로교통정보' '고속도로 길라잡이' '휴게소 정보'가 선정됐다.
 
'통합교통정보' 앱은 고속도로와 국도의 실시간 교통정보, CCTV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고속도로교통정보' 앱에서는 고속도로와 국도의 우회도로를 알려준다. 고속도로 이용에 필요한 주유소 정보와 가격정보 역시 확인할 수 있다.
 
'고속도로 길라잡이' 앱은 전방 30km 이내 사고, 휴게소 혼잡, 노면상태 등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고속도로 특화 서비스다. '휴게소 정보' 앱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휴게소를 알려준다.
 
대중교통 관련 앱으로는 코레일톡(기차), 코버스(고속버스), 가보고싶은섬(여객선), 인천공항 가이드(항공)이 선정됐다.
 
앱과 별개로 국토교통부 홈페이지(www.molit.go.kr), 국가교통정보센터(www.its.go.kr), 도로공사 로드플러스(www.roadplus.co.kr) 홈페이지에서도 다양한 교통정보가 제공된다. 종합교통정보안내(1333)와 고속도로 콜센터(1588-2504)를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한국도로공사는 교통예보팀을 운영해 고속도로 주요구간의 소요시간 예측 등 교통정보를 트위터와 고속도로 콜센터에서 제공한다. 원활한 접속을 위해 한국도로공사는 인터넷용량을 증설해 43만명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정부추천 '앱'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한 번 사용해 봐야겠다", "유익할 듯", "괜찮네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