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커피 2잔은 임산부에게 큰 영향 없어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임산부들은 항상 조심해야 할 게 많은데 커피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얘기해 하루에 커피 2잔 정도는 괜찮다. 평소 커피를 즐기던 여성은 임신 중에는 섭취량을 조금 줄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최고 영양 관련 자문기구인 식사지침자문위원회(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는 지난 20일 발표한 2015년 가이드라인을 통해 건강한 성인은 하루 3-5잔, 임신부는 하루 2잔의 커피만 마실 것을 발표했다.

임신 중 커피를 절제해야 하는 이유는 역시 카페인 때문이다. 카페인은 흥분제 역할을 해 혈압과 심박 수를 높여주는데 이는 임신 중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다. 카페인의 이뇨 작용 또한 임신부에게 좋을 게 없다. 임신부들의 빈뇨 증세를 악화시키고 간혹 탈수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카페인은 임신부뿐만 아니라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 산부인과 전문의 박문일 박사(전 한양대 의대 학장)는 “임신부와 달리 태아는 아직 대사 능력이 완전하지 않아 카페인을 완벽하게 대사시키지 못한다”면서 “그래서 태아의 수면 패턴이나 움직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임신부가 카페인 복용으로 잠을 못 이룰 때 태아도 그렇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카페인은 기형, 조산, 불임, 저체중아 출산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임신 중에 카페인을 입에도 대지 말라는 얘기는 아니다. 박문일 박사는 “적당량의 카페인은 임신부에게 해롭지 않다고 보고되고 있다”면서 “하루 150~300mg이 이에 해당한다”고 했다. 커피를 하루 3잔 이상 마시지 않으면 크게 해롭지 않다는 뜻이다. 커피 대신 허브티나 과일 차는 상대적으로 카페인 함유량이 적으니 커피보다는 조금 더 마셔도 된다.

카페인은 커피뿐만 아니라 차, 탄산음료, 초콜릿, 심지어 두통약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당일 먹은 음식을 살피는 것도 필요하다. 커피 1잔(150cc)에는 카페인이 100mg, 커피 1캔(180cc)은 74mg, 커피 믹스 1개(12g)에는 69mg 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 그러나 일부 커피전문점에서는 1잔(150cc)에 400mg의 카페인이 포함된 커피를 파는 곳도 있다. 이밖에 콜라 1병(250cc)에는 23mg, 초콜릿 1개(30g)는 16mg, 녹차 1잔(티백 1개)에는 15mg의 카페인이 함유돼 있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커피 2잔 정도야...", "커피 마시고 싶다", "나른한 오후네요" 등의 의견을 남겼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