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임종룡 회장의 취임 1년 3개월 동안 우리금융그룹의 금융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금융업계에 눈이 쏠리고 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우리금융그룹 금융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23년 3월 24일부터 2024년 6월 20일까지 우리금융그룹 계열사에서 총 9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하여 약 142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특히, 우리은행에서는 5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총 피해액이 131억 400만 원에 달했으며, 우리카드, 우리금융캐피탈, 우리금융저축은행에서도 각각 2건, 1건, 1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금융사고의 종류로는 사기가 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횡령, 사적금전대차, 개인정보유출 등이 뒤를 이었다. 임 회장의 취임 이후 우리금융그룹의 금융사고 수준은 동기간 다른 금융그룹과 비교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신한금융의 진옥동 회장 취임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금액은 36억 3,730만 원, 하나금융의 함영주 회장 취임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금액은 65억 8,560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우리금융의 사고금액은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강민국 의원은 "임종룡 회장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강하고 오래가는 건전지'로 알려진 에너자이저(주식회사 에너자이저코리아, 대표 사라베스햄튼) 건전지 제품이 상대적으로 7배 가량 저렴한 다이소(아성다이소) 건전지보다 성능이 못하다는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 원장 윤수현)의 평가 결과가 나왔다. 이에 국내 건전지 시장에 지각 변동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소비자원, "다이소 건전지가 에너자이저보다 낫다" 평가 발표 6월 25일 소비자원이 발표한 14개 건전지 제품의 시험 평가 결과, 에너자이저 건전지가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다이소 건전지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이번 시험 평가는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기준(한국산업표준(KS), 안전확인 안전기준 등) 등을 참고해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됐다. 평가 사항은 품질(지속시간), 안전성(내누액·중금속 함량), 경제성·환경성, 표시사항 등이다. 소비자원의 평가를 종합해 보면, 에너자이저 건전지는 여러 면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에너자이저 건전지는 1개당 가격이 최대 7배 차이가 나는 다른 제품들에 비해 가격이 높았다. 지속시간 시험 결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정부의 의료개혁 추진에 따른 의사들의 파업의 '불똥'이 엉뚱한 곳으로 튀고 있다. 진료 차질로 환자 수가 줄어들며 간병인들의 설자리까지 점점 좁아지고 있다. 특히 서울대병원 간병인의 경우 최소한의 안전장치인 병원측과 맺었던 협약까지 파기돼, 엎친 데 덮친 격의 2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월 29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일감 감소와 협약 파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간병인들의 시위가 진행됐다. 간병인들은 "간병노동자 다 죽이는 서울대병원장 각성하라", "간병비 인상시키는 간병협약 파기 철회하라", "간병책임 회피하는 서울대병원 각성하라" 등의 문구가 적힌 손피켓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 간병인의 손에는 "전공의 파업에 간병협약 파기 웬말이냐", "간병협약 파기는 간병료 인상시킨다"는 내용의 피켓도 들려 있었다. 병실에서 환자를 지켜야 할 간병인이 거리로 나서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생계다. 의사들의 파업으로 일감이 주는 상황이 이들을 위기로 내몰았다. 환자 수가 감소하면서 자연스럽게 일감이 줄었고 생활고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서울대병원이 간병 업체들의 난립을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미술품 증권형 조각투자 상품의 투자 금액을 8억 원 이상 유치한 미술품 재테크 플랫폼 '주식회사 갤러리케이(이하 갤러리K, 대표이사 허국현)'가 제휴 작가들을 대상으로 갑질을 행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갤러리K는 최근 고액의 광고료를 지불하며 유명배우 하정우씨를 모델로 발탁해 대대적인 홍보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작품을 만든 제휴 작가들의 작가료는 지불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갤러리K와 제휴를 맺고 있는 작가 A씨는 "갤러리K가 작가들에게는 작품 판매 대금을 즉시 지급한다고 했지만 원가를 제외하면 10-15%의 수익조차 안 되는 돈을 36개월로 분할 지급하고 있다"며 "작가들에게 실질적으로 돌아가는 수익은 미비하다. 작품을 거의 팔지 못한 작가들도 매달 어려운 상황 속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지만, 3-4개월간 판매 대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갤러리K는 이에 대해 임원의 불성실한 업무 등이라며 변명만 내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A씨는 "렌탈을 장기 제공하면 개인에게 작품을 주거나 판매 후 캐시백을 제공한다는 약속도 있지만 이는 회사와 대표이사 측에만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Hanwha Ocean has been accused of violating the Serious Disaster Act due to three deaths in the past year In January, two people were hiding in the gas explosion and submarine accident.Accordingly, the National Democratic Labor Union held a press conference that requires special supervisory supervisory and charge of punishment. The Gyeongnam branch of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filed a complaint with the Changwon branch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laiming that Hanwha Ocean neglected its duty to secure safet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명품 브랜드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 Dior[크리스찬 디올], CEO 델핀 아르노,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 대표 트렁히엔트란/콩메이완샤론)이 최근 생산 과정에서 심각한 노동 착취를 자행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디올은 지난해 국내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명품 브랜드로 루이비통, 샤넬과 함께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명품백 삼대 산맥으로 불린다. 논란의 요지는 노동 착취가 발생한 곳이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명품 브랜드라는 것이다.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밀라노 검찰이 노동력 착취 등 불법 노동으로 제조 원가를 낮추는 기업을 지난 10년간 수사한 결과, 디올 가방을 만드는 하청업체 4곳의 노동자들이 철야와 휴일 근무 등 장시간 강도 높은 노동에 시달린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직원들은 디올 공장이 24시간 돌아갈 수 있도록 작업장에서 잠을 잤고,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계의 안전장치도 제거된 상태였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제조된 디올 핸드백은 원가 8만 원에 불과하지만 매장에서는 384만 원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한화오션 [(042660) . 권혁웅 대표이사]이 최근 1년간 발생한 3건의 사망사고로 인해 중대재해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했다. 금속노조 경남지부는 한화오션이 안전 보건 확보의무를 소홀히 해 중대재해가 연이어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고용노동부 창원지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지속적 중대재해, ESG 경영 철학에 심각한 도전 한화그룹의 한화오션(042660)에서 최근 1년간 발생한 3건의 중대재해 사망사고는 단순한 작업 중 사고를 넘어 기업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권혁웅 부회장이 강조해 온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기반으로 한 ESG 경영 철학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노사정 논의기구 제안 거부" 노동계 비판 노동계에 따르면, 금속노조 경남지부는 지난 17일 한화오션을 고발하며 사측이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기자회견에서 "원하청 노동조합이 함께 참여하는 노사정 논의기구를 제안했지만, 한화오션은 이를 거부했다"며 "안전진단 참여 역시 거부한 것은 하청 또는 임시직 근로자의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지난 17일부터 서울대학병원 교수들이 파업을 시작했다. 파업 시작 사흘까지는 어느정도 환자가 있었지만 나흘이 되는 날부터 눈에 띄게 환자가 급감했다. 언론이 주목하기 전까지는 점차적으로 내원환자를 줄이다가 20일부터 급감하려는 의협의 전략이었다. 갈 곳 없는 환자들, 생존을 담보로 한 사투 응급실도 마찬가지이다. 연일 24시간 응급차로 가득했던 응급실이 응급환자는 물론 응급차가 사라졌다.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입원이 안되는 안타까운 사연도 전해졌다. 서울권역외상환자를 받는 중요 응급실은 물론 어린이병원 응급실 모두 한산하기 마찬가지다. 사이렌 소리도 이젠 거의 들리지 않는다. 파업 직전 말기 암 중증환자 A씨는 지방에 거주 중인데, 지속되는 고열과 고통으로 평소 진료 받던 서울대학교병원에 전화로 문의하자 빨리 응급차를 타고 응급실로 오라는 안내를 받았다고 한다. 환자A씨는 "3시간 사설응급차를 타고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으나, 응급실에서 현재 병상이 없어 입원이 안 되니 타병원으로 전원을 가라는 안내를 받았다."며 울분을 토했다. A씨는 다시 사설응급차를 타고 3시간 걸려 서울대학교병원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택배·금융기관·지인 등을 사칭하는 스미싱이 날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문자 메시지로 받은 링크를 클릭하거나, 알 수 없는 앱을 설치하면 어느새 개인정보가 탈취되고 만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범죄분석 전문가인 표창원 교수와 함께 스미싱 대응 영상을 제작, 유튜브 채널 ‘개인정보위티비’를 통해 공개했다. 지난 6월 초 게시된 첫 편 “불법 프로그램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에 이어, 이번 편에서는 급증하는 스미싱 피해 사례와 예방 방법을 상세히 소개했다. 표창원 교수는 작년 8월 부산에서 발생한 택배사 사칭 문자로 인해 3억 8천 3백만 원의 피해를 입은 사례를 언급하며, 스미싱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문자 메시지로 받은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말고, 알 수 없는 출처의 앱은 설치를 거부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개인정보위 서정아 대변인은 "스미싱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영상을 제작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은 절대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니, 이러한 연락을 받으면 즉시 무시하고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오는 9월 15일부터 모든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강화된 안전조치 의무규정의 시행을 앞두고 해당 사업자 및 공공기관의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 지난해 9월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과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고시에 따라, 그동안 사업자별로 다르게 적용되던 안전조치 기준이 일원화되었고, 모든 개인정보처리자가 일정 횟수 이상 접근인증 실패 시 접근 제한, 접속기록 월 1회 이상 점검, 인터넷망 구간으로 개인정보 전송 시 암호화 등 6개 안전조치를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한다. 공공기관 운영기관은 접근권한 관리, 접속기록 보관 및 점검 등 10개 안전조치 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이와 함께 대규모 개인정보처리자는 암호키 관리 절차 수립 및 재해·재난 대비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백업 및 복구 계획을 포함하는 안전조치를 시행해야 한다. 또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만 적용되던 인터넷망 구간 개인정보 전송 시 안전한 암호화 조치와 개인정보가 포함된 인쇄물, 복사된 외부 저장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A disastrous human accident occurr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cultural space creation in Mapo-gu, Seoul, which is under construction by Gyeryong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accident, 50 subcontractors died in this accident.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 was known to lose his life on the first floor of the ground. Criticism is mounting that this tragedy is the result of poor field management and insensitivity to safety. Industry officials estimate that this accident is due to the use of opening cover and specification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SJG세종, 전 세종공업) Vice Chairman Park, the second son of Sejong Industrial Co., who recently changed his company name to SJG Sejong Again, it has been embroiled in controversy over illegal gambling. Vice Chairman Park has previously been sentenced to prison for gambling and embezzlement. Vice Chairman Park, who changed his name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has been reported to be gambling with only his name on the company's management. Recently, suspicions have also been raised that he obtained illegal permanent residency a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불법 원정 도박 의혹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SJG세종 총수일가의 차남 박건 (개명전 박정규) 부회장이 도박빚 관련 사기로 피소됐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은 최근 SJG세종(세종그룹, 전 세종공업, 회장 서혜숙, 033530) 총수일가의 차남이자 그룹사가 소유한 골프장 서산수CC의 부회장인 박건 회장의 불법 도박 의혹에 대해 보도했다. 보도 내용은 불법 원정 도박과 횡령, 배임 혐의로 징역형을 받은 바 있으며 출소 후에도 불법 영주권을 통해 도박을 즐긴다는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후 오늘(19일), 지난 본지 보도가 나간 이후 추가로 제보가 접수됐다. 박건 부회장이 사기죄로 고소를 당한 것이다. 박 부회장을 고소한 ㈜리셋 이*진 대표이사는 박 부회장에게 카지노 도박 자금으로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는 돈을 빌려줬으나 박 부회장이 이를 갚지 않아 19일 서울강남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고소장은 현재 서울강남경찰서에 대리인 김0원의 이름으로 접수(접수번호 : 제2024-48**)된 상태다. 이 대표이사는 "박 부회장은 카지노 도박을 위해 약 3억 원의 돈을 편취했다. 4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그룹사 총수 일가의 차남인 박건(개명전 박정규, 전 SJG세종 총괄사장) 현 서산수CC 부회장의 비리로 논란이 됐던 'SJG세종(세종그룹, 전 세종공업, 회장 서혜숙, 033530)'의 경영 건전성에 다시 한 번 노란불이 켜졌다. 회사 자금 횡령/배임, 해외 원정 도박 등 혐의로 수년전 징역형을 받은 박 부회장이 출소 후에도 계속해서 불법 영주권 취득을 통한 원정 도박을 하는 등 비윤리적 행위를 일삼고 있다는 제보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박건 부회장의 이런 행위가 SJG세종의 경영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제보에 따르면, 박 부회장은 최근에도 불법으로 취득한 해외 영주권을 가지고 내국인 입장이 불가한 국내 카지노에 출입하는 등 도박을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채널A 보도에 따르면, 제주도 카지노에서 내국인이 도박을 할 수 있도록 바누아투 영주권을 발급해주는 브로커가 활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일정 금액 이상 도박을 하면 영주권 발급 비용을 수수료로 대체하겠다고 유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찰은 이러한 행위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최근 압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 위원장 송두환)의 성차별 관련 진정 사건에 대한 결정에 공정성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 제보에 따르면, 남성인 A씨는 지난 2022년 한 기업의 채용과 관련해 동일한 사유로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으나, 여성인 B씨가 제기한 진정과는 상반된 결과를 받았다며 "성차별을 없애야 하는 인권위에서 도리어 성차별을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보자 A씨는 2022년 C호텔의 ‘코로나19 방지를 위한 고객 체온 측정 업무’에 지원했으나 탈락했다. 이유는 남성이라는 점 때문이었다. 이를 '채용 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채용절차법)' 위반으로 본 A씨는 인권위에 진정을 제출했다. 하지만 인권위는' 국가인권위원회법 제39호 제1항 제3호'를 근거로 진정을 기각했다. 해당 사례가 법규상 ‘이미 피해 회복이 이루어지는 등 별도의 구제 조치가 필요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라고 판단했다. 반면, 동일한 사건으로 여성인 B씨가 제출한 진정서는 인권위가 인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권위는 A씨와 달리 B씨에게 불리한 대우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중요한 점은 B씨가 여성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