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북

경북도, 계묘년 새해 키워드는 '경제'와 '지방시대'

46개 신년사에서 ‘경제, 기업, 산업, 새해, 미래’ 많이 사용
경북도,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지방시대' 강조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경상북도는 새해 정책 방향과 경제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통령을 비롯한 시도지사, 경제부처, 재계에서 발표한 46개 신년사를 빅데이터 분석했다.

 

전체 신년사에는 ‘경제’(157회, 5.3%), ‘기업’(153회, 5.2%), ‘산업’ (150회, 5.1%), ‘새해’(149회, 5.1%), ‘미래’(142회, 4.8%) 등이 25.5%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이 외에 국민(135회), 시민(125회), 지원 (123회), 사업(121회), 혁신(113회)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신년사 분석결과와 비교할 때 코로나와 관련된 단어가 순위권에서 사라졌다. 이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는 등 본격적인 엔데믹 시대로 접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 신년사는 ‘경제(11회), 기술(8회), 개혁(8회), 국민(7회), 세계(7회)’가 많이 언급됐으며, ‘나라(6회), 수출(6회), 전략(6회), 산업(6회), 미래(6회)’도 상위권에 올랐다.

 

또 ‘기술’, ‘개혁’, ‘수출’, ‘전략’이 새로 순위권에 진입했는데, 세계 경기침체로 인한 불황을 새로운 수출전략을 통해 극복하겠다는 의지와 노동, 교육, 연금 3대 분야의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무총리를 비롯한 15개 중앙부처는‘국민(102회), 산업(76회), 경제(69회), 지원(68회), 금융(62회)’ 순으로 언급했다.

 

새롭게 등장한 ‘디지털․안정․수출․기술’이라는 단어를 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방향을 읽을 수 있다.

 

시도지사는 ‘시민, 도시, 새해, 미래, 산업’을 자주 언급했다.

 

특히, 경북도지사의 경우 ‘대한민국’, ‘지방시대’, ‘성공’, ‘도민’, ‘역사’, ‘기적’등의 단어를 사용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지방시대’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믿음을 표현했다.

 

이는 ‘지방시대’라는 국정 목표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함께 도출하고, 도청 조직에 ‘지방시대정책국’을 신설해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은 물론 인구, 교육 정책까지 포함한 대한민국의 지방시대 성공 사례를 만들겠다는 이철우 도지사의 도정 철학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 10대 그룹 중 신년사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은 삼성과 GS를 제외한 8개 그룹은 ‘사업, 그룹, 미래, 기업, 고객’등을 강조했다.

 

한편, 올해 경제계 전체 신년사에는 ‘위기’라는 단어가 새로 등장했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중 갈등 고조로 인한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신년사를 통해 현 상황을 이해하고 시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며 “경북도 또한 수출 증대를 통한 경제성장과 지방시대 실현을 이끄는 다양한 정책이 펼쳐지는 한 해가 될 것이다”라고 2023년을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