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글로벌 100대 타이어 업체 순위 발표… 한국타이어 8위, 금호타이어 12위, 넥센타이어 17위

한국타이어, 글로벌 '톱10'에 이름 올리며 위상 강화
금호타이어, 승용차 타이어 부문에서 두각
넥센타이어, 초고성능 타이어 시장에서 강력한 성장세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 류승우 기자 |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크레던스 리서치가 발표한 '글로벌 100대 타이어 업체' 순위에서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8위를 기록하며 국내 타이어 업체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금호타이어와 넥센타이어도 각각 12위와 17위에 이름을 올리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한국타이어, '톱10' 진입으로 글로벌 영향력 강화
한국타이어[161390, 대표 이수일] 는 이번 순위에서 8위를 기록하며 '톱10'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의 활약이 주효했으며, 이러한 성과는 국내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기반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한 결과로 분석된다.

 

금호타이어, 승용차 타이어 부문에서 주목
금호타이어 [073240, 대표 정일택]는 12위에 랭크되며 '톱20' 브랜드에 진입했다. 특히 승용차 타이어 중간 크기 부문에서의 경쟁력이 이번 순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금호타이어의 이러한 성과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브랜드 이미지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넥센타이어, 초고성능 타이어 부문에서 두각
넥센타이어[002350, 대표 강병중, 강호찬, 이현종]는 17위에 오르며 '톱20'에 안착했다. 초고성능 타이어 부문에서의 활약이 특히 주목받았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 넥센타이어의 브랜드 인지도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 선두는 미쉐린… 유럽·일본 타이어 업체 강
이번 조사에서 미쉐린이 1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타이어 시장에서의 절대적인 지배력을 과시했다. 이어 브릿지스톤, 굿이어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고, 콘티넨탈과 피렐리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유럽과 일본 타이어 업체의 강세를 보여주었다.

 

글로벌 시장 내 브랜드 이미지 강화 기대
이번 순위 발표는 각 타이어 업체의 글로벌 시장 내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를 한층 더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타이어 교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이들 브랜드의 위치는 현지 운전자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 환경과 사회] 디그로스 운동,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부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그로스(Degrowth, 감성장) 운동이 기후 위기의 대안적 해결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그로스는 전통적인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모델에서 벗어나 자원 소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사회 정의를 실현하자는 사회적·정치적 운동이다. BBC 등 주요 언론사들은 최근 일주일간 디그로스 운동을 집중 조명하며, "지속적인 경제 성장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며 불평등을 가중시킨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하고 있다. BBC는 "감성장 운동이 자원 소비 감소를 통해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그로스 운동은 특히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큰 관심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순 철학적 논의에서 실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는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는 에너지 소비 감축, 친환경적 교통수단 전환, 지속 가능한 농업 및 식량 시스템 구축 등 디그로스를 정책에 반영하자는 요구가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한편, 디그로스 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디그로스가 현실성이 떨어지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