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지상파 매출 2년 연속 하락…OTT 확산에 방송 생태계 변화 가속

전문가 "플랫폼 경쟁력 없이는 생존 불가…지상파 구조 혁신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전영준 기자 |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 확산으로 전통 방송사들이 수익성 악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방송사업자 매출은 총 18조 80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했다. 이로써 방송 매출은 2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지상파 방송은 광고 및 콘텐츠 판매 부문에서 모두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방송광고 매출은 2000억 원 이상 줄었으며, 프로그램 판매 수익도 전년 대비 10.7% 감소했다. 주요 지상파 3사는 모두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OTT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88.8%가 OTT 서비스를 이용 중이며, 이 중 유료 이용자는 61.6%에 달한다. 또한 한 사람이 평균 2.6개의 OTT 플랫폼을 동시에 사용하는 '다중 구독' 현상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시청 행태 변화에 그치지 않는다. 특히 밤 10시 이후 스마트폰을 통해 소비되는 숏폼 콘텐츠가 전통 방송의 고정 편성 구조를 대체하고 있으며, 방송사 콘텐츠의 플랫폼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익구조 측면에서도 전통 방송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유료 OTT 이용자일수록 광고 회피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광고 예산은 OTT와 유튜브 등 플랫폼 중심 매체로 이동 중이다. 방송사는 콘텐츠를 제작하지만, 플랫폼과 사용자 경험을 장악하지 못하면서 수익 배분에서 밀려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통 방송의 생존 전략으로 ▲OTT 플랫폼 자체 경쟁력 강화 ▲숏폼 중심 콘텐츠 제작 ▲AI 기반 큐레이션 시스템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단순히 기존 방송 편성을 OTT에 이식하는 식의 디지털 전환만으로는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제 콘텐츠를 만든다는 사실만으로는 경쟁력이 되지 않는다"며 "방송사는 기술 중심 플랫폼 전략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시청자와 시장 모두를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SI 그룹, 아젤리스와 신규 파트너십 통해 EMEA 지역 유통망 확대

-- 브렌탁과의 오랜 파트너십 보완하는 아젤리스와의 새로운 협력 관계로 SI 그룹의 고객 접근성 확대 기대 더 우드랜즈, 텍사스, 2025년 10월 4일 /PRNewswire/ -- 세계적인 고성능 첨가제, 생산 공정 솔루션, 의약품, 유기화학물 중간체 개발사이자 제조사인 SI 그룹(SI Group)이 2일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에서 플라스틱 첨가제 유통망을 확장하기 위해 아젤리스(Azelis)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6년 1월 1일부터 시작되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SI 그룹은 영향력을 확대하고 맞춤형 솔루션 및 현지 지원을 통해 고객 서비스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SI 그룹은 또 신뢰할 수 있는 유통 파트너인 브렌탁(Brenntag)과 2005년부터 이어온 협력을 EMEA 지역 일부 국가에서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SI 그룹은 아젤리스와 브렌탁이 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지역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양사와의 파트너십을 결정했다. SI 그룹은 양사의 영업 인력 역량, 기술 전문성, 창고 관리 능력을 활용해 고객의 제품 접근성과 고객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