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추진하는 중점 과제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전국 농업 현장을 찾아 분야별 현안을 점검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마련하고 있다.
9월 19일에는 2026년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형(모델) 시범사업장으로 선정된 경북 칠곡의 꿀벌나라 테마공원을 찾아 시범사업장 운영계획을 들었다.
칠곡군은 올해 꿀벌-농가-소비자 상생 사업 ‘칠곡 허니웨이’를 제안해 ‘2026년도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형 시범사업’에 선정됐다. 앞으로 2년 동안 천연벌꿀 검사 시스템 조성, 칠곡벌꿀 상품화(브랜드화), 스마트양봉 시험장(테스트 베드) 구축, 병해충 경감 기술 등을 지원받는다.
이 청장은 칠곡군 꿀벌 지원사업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발전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한, 칠곡, 고령, 성주 지역 양봉 농가들과 간담회를 갖고, 농촌진흥청 기술을 소개하는 한편, 우수 기술 확대 보급 방안을 모색했다.
이 청장은 꿀벌응애, 말벌, 농약으로 인한 꿀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보급이 절실하다는 양봉농가 의견에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꿀벌응애 조기진단 장치를 신속히 보급해 약제 사용 비용 절감, 건강한 꿀벌 사육을 지원하겠다.”라고 피력했다. 나아가 꿀벌응애 저항성 우수 꿀벌 품종을 개발‧보급해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청장은 구미시 해평면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청년농업인을 찾아 격려하고, 청년농업인 지원 및 축산 신기술 보급 시범사업 효과를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전국 19개 시군 57농가를 대상으로‘한우 번식우 수태율 향상 및 송아지 관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은 사양관리 전문 상담(컨설팅)으로 번식우 영양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코팅베타카로틴 급여로 수태율을 높이며, 송아지 집중관리실 보급으로 폐사율을 줄이는 데 있다.
이 청장은“한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번식 효율을 높여 안정적인 송아지 생산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라며“한우 번식우 수태율 향상 기술과 송아지 집중 관리 시스템 보급을 확대해 농가가 체감하는 성과를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래 축산업을 선도할 인재 육성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힌 이 청장은“청년농업인들이 자신 있게 축산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든든히 뒷받침하고자 2021년부터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지역을 선정해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청년농업인 159명을 대상으로 번식, 개량, 사양관리 등 전문 기술과 경영관리 교육·전문 상담(컨설팅)을 추진하고, 지역 거점별 연결망(네트워크)을 활성화해 청년농업인 정보 교류를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