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8.3℃
  • 맑음강릉 10.5℃
  • 맑음서울 10.3℃
  • 맑음인천 10.6℃
  • 맑음수원 8.1℃
  • 맑음청주 11.5℃
  • 맑음대전 9.7℃
  • 맑음대구 12.2℃
  • 맑음전주 11.1℃
  • 맑음울산 11.7℃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4.6℃
  • 맑음여수 13.5℃
  • 맑음제주 13.9℃
  • 맑음천안 9.1℃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이랜드, 일본 진출 2년만에 철수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일본시장에 진출한 이랜드가 2년 만에 현지 모든 매장의 문을 닫았다. 엔저 현상 심화로 현지 가격 경쟁력 확보가 힘들어진 탓으로 풀이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이랜드는 패션사업부문 산하 SPA(제조·유통 일괄화 의류) 브랜드 스파오의 일본 요코하마 매장을 1일 자로 폐점했다. 이에 따라 2013년 일본에 진출한 이랜드 패션 사업부분은 현지에서 운영하던 5개 매장의 문을 모두 닫게 됐다.

이랜드는 국내 패션 대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현지 법인을 통해 일본에 직접 진출해 사업을 전개하던 업체였다. LF의 캐주얼 브랜드 헤지스 제품이 일본에서 판매 중이지만 일본 잡화 편집숍 '해피니스앤디' 일부 매장을 통한 간접 진출에 그쳤다.

이랜드의 매장 폐쇄에 따라 'K-패션'은 일본 시장에서 직 진출 교두보를 잃게 된 셈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사업 환경 악화에 따라 매장을 철수한 것일 뿐 일본 법인은 유지할 것"이라며 "반응이 좋은 중화권 시장에 우선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랜드 매장 폐쇄는 엔저 현상 심화가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이랜드 매장 철수가 시작된 시점 역시 엔저 현상이 심화된 지난해 부터였다. 지난해 5월 스파오 2개 매장을 정리한 뒤 8월에는 또 다른 SPA 브랜드 '미쏘' 매장도 폐점했다. 특히 이랜드가 일본에서 전개한 스파오와 미쏘는 합리적 가격 자체가 경쟁력인 브랜드여서 엔저에 따른 현지 판매 단가 상승 부담이 한층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랜드 관계자는 "일본에서 사업을 한 지난 2년간 엔화 가치 하락 부담이 갈수록 커졌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에 진출한 일본계 패션 브랜드는 엔저 효과를 등에 업고 사업 영역 확장에 나섰다

한국시장에 진출한 일본 패션 대기업은 패스트리테일링(유니클로 모회사)과 아다스트리아홀딩스(니코앤드 모회사), 세이유(무인양품 모회사), 월드그룹(더샵티케이믹스파이스 모회사), 온워드카시야마(조셉옴므 모회사), 와코루(신영와코루에 자본 투자) 등 6개사. 이들의 한국 매출은 지난해 1조5000억 원에 육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업체들은 공격적 가격할인을 통해 판매를 늘리고 있다. 유니클로는 사실상 연중 상시 할인체제를 가동 중이며 무인양품은 지난해 4월부터 전체 판매 품목 30%의 가격을 최대 35%까지 인하했다.

국내 패션업계 관계자는 "일본 패션업체들은 장기 내수침체에 대응해 원가절감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며 "이 같은 경쟁력이 최근 엔저 효과와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다"고 전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2025 농업인 한마음대회 개최…광양 농업인 웃음과 열정으로 하나 되다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광양시는 제30회 농업인의 날을 맞아 11월 14일 광양실내체육관에서 ‘농업인 한마음대회’가 성대하게 열렸다고 밝혔다. ‘농업인 한마음대회’는 농업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드높이고 미래 농업 발전을 다짐하는 화합의 장으로, 올해 행사는 농업인 5개 단체가 주최하고, (사)한국후계농업경영인 광양시연합회와 (사)한국여성농업인 광양시연합회가 공동 주관했다. 행사에는 광양시 농업인단체 회원을 비롯해 정인화 광양시장, 신정훈·주철현 국회의원, 김태균 전라남도의장, 최대원 광양시의장을 포함한 도·시의원, 농업 관련 기관·단체장 등 1,0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시립국악단의 식전 공연을 시작으로 기념식, 생활개선회와 한여농의 축하공연, 초청가수 공연이 이어졌으며, 임대농기계 전시·홍보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마련됐다. 또한 우수농업인 19명에게 시장·국회의원 표창 등이 수여되고, 농업발전 유공 공무원에게 감사패가 전달돼 행사 의미를 더했다. 수상자들은 “농업은 단순한 생업을 넘어 국민 먹거리를 책임지는 국가 기반 산업임을 다시 확인했다”며 농업인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