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이 임박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CBAM은 EU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과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동일한 탄소 배출 규제를 적용하는 제도로,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이 제도는 EU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수입품에 대한 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한다. 이는 국내 기업들에게 수출 경쟁력 약화라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탄소 집약적인 산업 분야의 기업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의 산업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하지만 CBAM은 단순히 부담만 안겨주는 제도가 아니다.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과 투자를 유도하여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친환경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는 새로운 시장 창출과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BAM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전략 마련이 중요하다.
정부 차원의 지원과 기업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정부는 CBAM에 대한 정보 제공과 기업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기업들은 탄소 배출 감축 기술 도입 및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활용 등 적극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CBAM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CBAM은 국내 기업들에게 위기이자 기회이다. 위기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통해 기업들은 탄소 중립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협력과 혁신적인 전략이 필수적이다.
향후 CBAM의 시행 상황과 국내 기업들의 대응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심층적인 내용을 보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