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 이후 사고 기체인 보잉 737-800 여객기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며 해당 여객기 기체와 보잉사에 대한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지난 무안공항 참사 이튿날인 30일, 제주항공의 또 다른 보잉 737-800 여객기가 서울에서 이륙한 직후 착륙 장치 이상 경고로 인해 회항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다행히 해당 항공기는 안전하게 착륙했으며, 탑승객들은 대체 항공편으로 이동했다. 또한, 같은 날 태국 방콕 돈므앙 국제공항에서 태국 저비용항공사 녹에어의 보잉 737-800 여객기가 두 차례 이륙을 시도했으나 엔진 문제로 실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승객들은 공포에 떨었으나, 기장의 판단으로 터미널로 복귀하여 대체 항공편이 제공됐다. 또한, 1월 5일 오후 6시 40분경에는 호주 멜버른 공항에서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로 향하려던 에티하드항공 EY461편 보잉 787-9 드림라이너 여객기가 이륙 도중 타이어 두 개가 파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항공기는 시속 약 300km로 활주로를 주행 중이었으나, 기장이 이륙 직전에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항공기를 멈춰 세웠다. 탑승자 289명은 모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방위각제공시설(Localizer) 내 콘크리트 등 단단한 구조물을 설치를 제한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1월 3일, 김예지 의원(대표 김예지) 등 12명은 항공기 사고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법안은 최근 무안국제공항에서 민간 항공기가 동체 착륙 중 콘크리트 둔덕에 충돌해 대규모 사망사고가 발생한 사건을 계기로 마련됐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및 인접 지역에 설치되는 방위각제공시설(Localizer) 등 항행 장비와 시설물을 항공기 충돌 시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다. 김 의원 측은 이번 법안은 지난 2015년 아시아나항공의 히로시마 공항 사고 사례를 참고한 것으로, 당시 시설물 충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점에 주목한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무안국제공항 사고와 관련한 원인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콘크리트 둔덕이 사고 피해를 확대시킨 원인으로 지목되며 해당 법안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 법안은 항공기 사고로 인한 국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관련 규정을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팀 | 지난 29일 발생한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버드스트라이크(조류 충돌)가 지목됐다. 일각에서는 무안공항의 미흡한 버드스트라이크 예방 조치가 사고의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고 항공기는 착륙 중 랜딩기어 이상을 겪고 동체착륙을 시도하다 활주로에 있는 둔덕과 충돌하며 폭발했다. 사고 원인에 대한 갑론을박이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버드스트라이크와 공항의 지리적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참사의 원인, 버드스트라이크? 버드스트라이크는 항공기와 새의 충돌을 의미한다. 무안공항은 새들의 서식지가 많은 지역으로, 겨울철에는 철새들이 공항 주변을 지나기 때문에 버드스트라이크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실제로 제주항공 7C2216편이 착륙을 시도할 당시 새 떼와의 충돌로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항공기가 동체착륙을 시도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버드스트라이크가 주는 충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무게 1.8kg의 새가 시속 960km로 비행 중인 항공기와 충돌하면 약 64톤의 충격이 발생한다. 순항 고도에서는 조류 충돌 가능성이 낮지만, 이륙과 착륙 과정에서는 공항 주변 새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윤태준 기자 |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항공업계를 비롯한 사회 각계에서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조류 충돌) ▲엔진 고장 ▲이착륙장 길이 등 다양한 원인이 지목됐지만, 정확한 원인은 정밀한 조사 후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고 당시 촬영된 모습에서 볼 수 있듯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아 항공기 착륙 시 무게를 지탱해주지 못한 점은 사고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랜딩기어가 제 역할을 못해 속도를 줄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항공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항공기의 엔진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이번 사고에 큰 영향을 미친 항공기의 기체와 엔진을 주로 분석했다. 앞으로를 위해서라도, 일반인들이 항공편명을 통해 자신이 탑승하는 항공기의 상태를 어떻게 알고 구분할 있을지 살펴본다. '항공편명'과 '항공기등록번호'의 차이 사고가 발생한 방콕-무안행 제주항공의 비행편명은 '7C2216'이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할 점은 '항공편명'과 '항공기 등록번호'의 차이다. 흔히 항공권 티켓에 적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큰 사고는 항상 사소한 사고를 방치했을 때 발생한다. 하인리히의 법칙”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가 발생하기 전 1년간 제주항공의 기체에서는 엔진 결함으로 인한 문제가 다수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크고 작은 전조 증상이 있었음에도 특별한 점검 없이 운행을 지속한 제주항공의 안전불감증이 사고를 키웠다는 시각도 나온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제주항공에서는 엔진 등 기체 결함으로 인한 문제가 이번 참사를 포함해 총 7번 발생했다. 지난해 10월 19일, 방콕 수완나품 공항을 출발해 김해공항으로 향하던 7C2252편은 이륙 후 1번 엔진의 배기가스 온도가 27초 동안 950도를 초과하는 이상이 발생했다. 이에 조종사는 1번 엔진을 셧다운하고 방콕공항으로 회항했다. 제주항공 측은 엔진 배기구의 온도 감지 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설명했다. 이어 10월 22일에는 김포공항에서 제주로 출발할 예정이던 7C131편이 이륙 전 엔진 결함이 발견돼 운항이 지연됐다. 해당 항공편은 약 3시간 30분 후 대체 여객기를 투입해 운항을 재개했다. 다음달인 11월 18일에는 김포에서 제주로 향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