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22.6℃
  • 맑음서울 17.0℃
  • 맑음인천 14.6℃
  • 맑음수원 14.9℃
  • 구름많음청주 19.0℃
  • 구름조금대전 17.1℃
  • 구름많음대구 24.8℃
  • 구름많음전주 15.7℃
  • 구름많음울산 20.3℃
  • 구름많음광주 17.9℃
  • 구름많음부산 16.6℃
  • 흐림여수 19.2℃
  • 흐림제주 17.4℃
  • 구름많음천안 17.4℃
  • 구름조금경주시 25.3℃
  • 구름많음거제 17.5℃
기상청 제공
배너

국제

중일한러 4국 고속철비교, 중국 고속철 가장 빨라

 고속열차

7월 8일 미국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사이트 보도에 따르면 한 서방 기자가 최근간 중국, 일본, 한국과 러시아에서 고속철을 타 봤는데 그중 하나가 기타의 것보다 더 좋았다.

국제기자로서 그는 중일한러 여행을 하면서 이 4국 고속철을 타 보고 비교를 했다. 어느 나라의 고속철이 가장 좋을까?

우선 열차를 보게 된다. 중국 고속철은 지난 십여년사이에 발전하게 되어 열차도 자연히 새 것이다. 지난해 중국은 또 최신형에 자주적 설계로 제조한 푸싱호(复兴号)를 출범했다. 일본의 탄두형 열차는 1964년에 조입했지만 일본은 줄곧 지속적으로 열차를 갱신하고 있으며 고속철기술은 일본의 중요한 수출품이다. 한국 고속촐은 2004년에 운영에 투입했는데 처음에는 프랑스 알스톰 회사(Alstom)와 연합으로 개발했으며 최근연간 자기 열차를 개발했다.

러시아 고속철은 2009년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기술은 독일 지멘스회사(Siemens)의 것을 채용했다. 

그 다음 기차역을 보게 된다. 중국의 다수 신설 고속철 역은 기차역이라 하기 보다 공항이라고 말하는 편이 더 좋다. 이 기자는 중국에서 체험한 다수 고속철 역은 직접 도시지하철과 연결되고 여행을 이음새 없게 연결했다.

일본에서는 그가 도쿄부터 오사카(大阪)로 가는 신칸센(新干线)을 탔는데 도쿄 기차역은 화려하고 역사적 의의가 있지만 중국 기차역처럼 현대화하지 못했다.

한국에서는 그가 서울~부산 고속철을 탔는데 두 기차역은 비록 깨끗하고 통행에 편리하지만 특별한 점이 없고 대형 쇼핑마트와도 같아 보였다. 러시아에서 그는 모스크바~쌍크트 페테르부르크 행의 삽산(SAPSAN) 고속열차를 탔다. 모스크바 기차역은 외관에서 보면 건축이 아름답지만 내부는 쌍크르 페테르부르크 기차역과 마찬가지로 어둡고 혼잡했다.

셋째 착석률을 보게 되는데 2016년 중국 고속철망은 근 30억 연인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년 착석률이 약 10% 성장했다. 전 중국 범위에서 고속철 이정은 1.55만 마일에 달하며 첫번째 고속철 라인이 2008년에 개통된 점을 보면 이 숫자가 심각한 인상을 주고 있었다. 일본 신칸센망은 포괄률이 크고 전 일본 인구의 37%에 접근하고 있다. 한국 고속철망은 4개 주간선로가 있으며 더 많은 선로를 계획하는 중인데 가장 깊은 인상을 주는 점은 한국의 고속철망이 전국의 약 45% 인구를 포괄하는 것이다.

러시아 고속철은 한 갈래 뿐이며 쌍크트 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 간후 다시 니즈니 노브고로드에 가는 선로 전체 이정이 8여 시간 걸린다. 

넷째 승차권 구입문제이다. 중국에서 외국인망 승차원은 자기 손으로 친히 인출해야 하는 데 중요한 문제는 사전에 예약해야 하며 인가 선로는 항상 매진된 상태다. 일본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승차권을 사는제 주요 선로에는 열차가 매우 많아 승차원을 구입하지 못할가봐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한국도 비슷하다. 러시아에서는 인터넷 승차권 구입시 일부 회사들이 두배로 요금을 받는 문제를 조심해야 한다. 

다섯째, 차량내부 공간문제로서 중국 고속철 내부는 비행기 안과 같다. 일본 신칸센 차량은 중국과 비슷하다. 한국 여라 차량은 조금 좁아 보건대 더욱 낡아 보인다. 러시아 차량은 4국들중 가장 좋다. 

여섯째, 좌석공간인데 이 기자는 중국 고속철 좌석에 매우 만족했다. 크고 쾌적하며 다리를 펼 공간이 컸다. 일본 신칸센도 비슷하지만 좌석이 좀 딱딱했다. 한국 고속철 좌석 공간은 더 바듯했다. 러시아 고속철 좌석도 공간이 매우 크고 잠을 잘때 매우 쾌적했다. 

일곱째 열차 음식물인데 중국 고속철에는 일부 차들에 식당차를 설치해 포장을 한 전자 레인지로 가열할 수 있는 음식을 제공한다. 승무원은 또 손수레를 밀고 다니면서 각종 간식, 과일과 드링크를 판매한다. 신칸센의 음식은 종류가 비교적 적고 드링크, 간식과 라면만 제공한다. 한국 고속철은 운행시간이 짧아 음식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러시아 고속열차의 음식은 가장 좋으며 많은 경제 좌석에서는 커피, 소프트드리으와 샌드위치를 제공한다.

여덟번째 차 속도로서 중국 고속철 시속은 350 km에 달하며 일반적으로 307 km, 새로 개발한 부싱호 열차는 400 km에 달할 수 있다. 신칸센의 가장 빠른 운영 속도는 시속 320 km이며 일부 선로는 실제로 조금 천천히 달린다. 한국 고속철의 최고 설계 시속은 350 km이며 운영 시속은 300 km이다. 러시아 고속열차 시속은 250 km이지만 시속 350 km에로 승급할 수 있다.

그러면 어느 국가 고속철이 가장 좋을까? 이 기자의 견해는 중국 기차가 가장 빠르고 최신형이다. 중국 고속철은 가장 선진적인 기술 수준을 구비한 열차에 놀랍게 멋진 기차역과 심각한 인상을 주는 철도망으로 승자로 될 수 있다. 그러나 개찰절차와 식품 선택 차원에서 개진해야 한다.

이 보도의 작자는 해리슨 재코브스(Harrison Jacobs)이고 천이(陈一)가 번역했다.


美国“商业内幕”网7月8日文章,原题:我在中国、日本、韩国和俄罗斯乘坐高铁,其中一个比其他都好  作为国际记者,最近的中日韩俄之行,我乘坐了四国的高铁,并进行了对比。哪国的高铁是最好的呢?

首先,看列车。中国高铁是过去十几年发展起来的,列车自然是新的。去年,中国又推出最新型、自主设计制造的复兴号。日本的子弹头列车1964年引进,但日本一直在持续更新列车,(高铁)技术是日本一项重要出口。韩国高铁2004年投入运营,最初是和法国阿尔斯通公司联合开发的,近年来开发出自己的列车。俄罗斯高铁2009年开始提供服务,技术来自德国西门子公司。

其次,看车站。中国大多数新建高铁车站与其说是火车站,不如说更像机场。我在中国体验的大多数高铁站都直接与城市地铁相连,令旅行变成无缝对接。在日本,我坐了从东京到大阪的新干线,东京火车站华丽而有历史意义,但没有中国火车站现代化。在韩国,我乘高铁从首尔到釜山,两个车站尽管干净、易于通行,但无特别之处,看起来像大型购物中心。在俄罗斯,我乘从莫斯科到圣彼得堡的SAPSAN高速列车,莫斯科的车站尽管从外面看建筑漂亮,但内部跟圣彼得堡车站一样昏暗拥挤。

第三,看上座率。2016年中国高铁网服务近30亿人次,每年上座率约增长10%。全中国范围内高铁里程达1.55万英里,鉴于第一条高铁线2008年才开通,这个数字令人印象深刻。新干线网络覆盖面大,接近全日本人口的37%。韩国高铁网有4条主线路,更多线路在规划中,令人印象最深刻的是其高铁网覆盖全国约45%的人口。俄罗斯高速铁路只有一条,从圣彼得堡到莫斯科再到下诺夫哥罗德,全程8个多小时。

第四,看购票。在中国,外国人网购车票需亲自取票。重要的是要提前订票,热门线路常售罄。在日本也可网购车票,主要线路上有很多趟列车,不愁买不到票。韩国情况类似。在俄罗斯,在线买票需当心有些公司双倍收费。

第五。看车厢内部空间。中国高铁列车内部像机舱。日本新干线车厢与中国的相似。韩国列车车厢有点窄,看起来更旧。俄罗斯车厢是四国中最好的。

第六,看座位空间。我很满意中国高铁的座位,大且舒服,有很大的伸腿空间。日本新干线类似,但座位有点硬。韩国高铁座位空间更紧一些。俄罗斯高铁座位空间也很大,入睡舒适。

第七,看车上食物。中国高铁有些有餐车,提供包装好的可微波炉加热的食物。乘务员还推着小车卖各种零食、水果和饮料。新干线的食品种类少,只有饮料、零食和方便面。韩国高铁由于运行时间短,几乎不提供食物。俄罗斯高速列车的食物最好,很多经济座位提供咖啡、软饮和三明治。

第八,看车速。中国高铁时速能达350公里/小时,通常运速307公里/小时,新研发的复兴号列车能达400公里/小时。新干线最快运营速度320公里/小时,一些线路实际跑得慢些。韩国高铁最高设计速度350公里/小时,运营速度300公里/小时。俄罗斯高速列车250公里/小时,但可升级到350公里/小时。

哪个国家的高铁是最棒的?我个人观点是,中国火车是最快最新的。中国高铁凭借最先进技术水平的列车、让人惊艳的车站、令人印象深刻的铁路网而胜出,但检票程序和食品选择还可改进。

/人民网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 혁신 R&D의 목표를 제시한다, 2025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신규과제 발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임재현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서울 팁스타운에서 ‘2025년 DCP 전략 간담회(이하 간담회)’를 개최하고 2025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신규 과제를 발표했다. DCP는 중소벤처기업이 고위험·고성과 R&D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민·관 합동으로 최대 100억원 내외의 자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R&D 프로젝트이다. 기업이 하고 싶은 과제를 지원하는 기존 R&D 지원사업과 달리국가전략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기술과제를 정부가 출제하면 기업, 투자사, 연구기관 등이 ‘프로젝트 팀’을 이루어 도전하는 방식이다. 금번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 참여 기업의 기술수요 140개를 바탕으로 200명 이상의 분야별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바이오, AI, 반도체 등 미래 전략분야의 19개 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분야별 주요 출제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첨단바이오 : 액체생검을 통한 암진단기기 개발 등 4개 현재는 암을 진단하기 위해서 의심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조직생검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나, 통증과 신체적 부담이 심하여 변화하는 양상을 모니터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