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암호화폐 특허 전용실시권… 필리오소피 특허권침해 법률문제 예상

기존 코인거래소 특허권 침해 법률적 문제 예상

필리오소피 대표이사 박만호, 특허 전용실시권 업무 권한 부여를 통해 시장 변화에 주목받고 있는 특허권자이면서 발명가인 ㈜필립스멀티 최기재 대표이사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필리오소피 박만호 대표이사 / 사진제공 ㈜필립스멀티

 

최대표는 2020년도에 암호화폐(가상화폐) 실시간 가격으로 특허권 2개를 취득했고 B업체에게 통상실시권을 사용 허락하면서 본격적인 특허 사용 실시권 권리를 행사는 다채롭고 대상이 너무 많고 그의 주변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최 대표를 의심케 하는 것은 B회사를 인수함과 동시에 ㈜필리오소피 라는 상호변경과 박만호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박 대표는 서울대학 졸업하고 대우무역. SKC&C 등에서 재직하였으며, 그 경험을 중심으로 앞으로 암호화폐(디지털화폐) 실시간 가격으로 결제 시 특허권 사용에 대한 전용실시권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라고 밝혔다.
 
㈜필리오소피 대표이사 박만호의 업무가 시작되면 기존 코인거래소는 특허권 침해에 따른 문제 제기를 시작하면 법률적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최 대표는 밝혔다. 다만 특허가 강제조항보다는 서로 단계적 협력으로 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 부분이 어디까지 인가하는 의구심이 든다.

 

현재 최 대표는 암호화폐(디지털화폐)를 거래소(중개소) 등에서 실시간 가격으로 결제 등 사용 시에 해당하는 특허를 1차는 2020년 3월 9일 특허번호 10-2088841로 암호화폐를 활용한 상거래의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으로 2차는 2020년 8월 7일 10-2144529로 암호화폐를 활용한 전자금용거래 시스템으로 받았다. 이 특허들은 2019년 9월에 국제특허출원으로 PCT 신청이 완료했다. 라고 전했다.

 

아울러 최 대표는 블록체인의 본체이며 암호화폐 본국인 일본과 특허를 출원하기 위해 일본 전문업체와 지분정리와 함께 일본 특허출원에 돌입하였다. 라고 하며, 이번 기업 인수 과정에 M&A 전문가인 권용순 자문위원의 노고가 컷다. 고 밝혔다.

 

중요 부분 특허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내외 코인거래소를 통해 실시간 가격으로 코인 및 주식을 사고파는 경우처럼 명목화폐나 유가증권으로 교환 되는 경우에 환하여 적용된다. ▲코인끼리 교환하는 경우 ▲포인트 등으로 코인과 교환하는 경우 ▲온,오프라인에서 결제하는 경우 ▲주식구입, 부동산구입, 대리운전, 종교헌금, 온라인게임, 스포츠관람 및 각 티켓구입 등에 사용하는 경우 ▲ATM기에서 현금으로 교환하는 경우 ▲거래소를 통해 락을 하는 경우 ▲거래소를 통해 에어드랍하는 경우라고 한다,

 

정길종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성능·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고용량·고속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학습 및 추론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를 예고한다. 미국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