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2.2℃
  • 구름조금강릉 8.4℃
  • 맑음서울 5.7℃
  • 맑음인천 6.4℃
  • 맑음수원 4.6℃
  • 맑음청주 5.0℃
  • 맑음대전 5.9℃
  • 구름조금대구 4.6℃
  • 구름많음전주 7.5℃
  • 구름조금울산 6.0℃
  • 흐림광주 7.9℃
  • 구름많음부산 7.3℃
  • 맑음여수 8.3℃
  • 맑음제주 9.7℃
  • 맑음천안 3.1℃
  • 구름조금경주시 5.4℃
  • 구름많음거제 7.5℃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케이(K)-컬처 기반 융·복합 국제회의 연속 개최

공모로 선정된 4개 국제회의 개최, 각 국제회의당 3년간 최대 6억 원 지원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손을 잡고 한국 마이스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융·복합 국제회의 4개를 공모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들 국제회의는 각각 3년 동안 최대 6억 원의 지원을 받으며 개최되며, 이를 통해 한국은 케이(K)-컬처의 매력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케이(K)-컬처는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our), 국제회의(Convention), 전시행사와 이벤트(Exhibition&Event) 등을 포함하는 신조어로, 한국의 다양한 문화 자원을 바탕으로 한 융·복합 국제회의를 의미한다.

 

이번에 선정된 4개의 융·복합 국제회의는 각각 ▴2023 국제아동도서&콘텐츠페스타, ▴레츠 플로피, ▴비욘드한글, ▴콘텐츠 유니버스 코리아로, 이들 행사는 케이(K)-마이스산업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회의산업은 대규모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여 고용 창출과 국가 이미지 향상에 기여하며, 호텔, 쇼핑 등 다양한 연관 산업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체부는 이러한 국제회의산업의 성장을 위해 융·복합 형태의 국제회의를 지원하고, 케이(K)-컬처의 다양한 매력을 세계에 알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진행된 공모를 통해 선정된 이들 국제회의는 케이(K)-마이스산업을 선도할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첫 번째로 개최되는 국제회의는 10월 5일부터 9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와 광교호수공원에서 열리는 '2023 국제아동도서&콘텐츠페스타[BOOKIZCON 2023]'로, 이는 해외 10여 개국 350여 개사, 450여 명의 국내외 그림작가, 콘텐츠 제작기업, 플랫폼 기업 등이 참여하는 학술대회를 포함한 다양한 이벤트로 구성돼 있다.

 

그 뒤로는 10월 14일부터 15일까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리는 '레츠 플로피[주관 ㈜닷플래너]'와 10월 20일부터 22일까지 부산 영화의전당에서 개최되는 '비욘드한글[주관 ㈜리컨벤션]'이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11월 9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킨텍스에서 '콘텐츠 유니버스 코리아[주관 오프너디오씨(주)]'가 열릴 예정이다.

 

문체부 이수원 융합관광산업과장은 “한국 마이스 산업 경쟁력을 견인할 신(新)국제회의 모델로 유망한 융·복합 국제회의가 첫해 성공적으로 열리고 단계적으로 자생력을 높여 케이(K)-관광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행사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획재정부 최상목 부총리, 국제금융 전문가 오찬 간담회 결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임재현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월 2일 시장 전문가 및 관계자들을 만나 최근의 시장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우리 금융·외환시장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먼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미국 현지시각 4.2일 예정) 등을 계기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보면서, 상호관세의 세계경제 영향, 미국의 경기·고용 상황 및 그에 따른 통화정책 방향 등에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과정에서 우리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하는 한편, 미국과의 긴밀한 소통이 매우 중요한 시점인 만큼, 통상·외환 관련 미국과 협의를 강화하고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방안도 신속하게 마련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어 최 부총리는 보다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우리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한국 자본시장의 발전이 가장 중요한 정책 과제라고 언급하면서, 외국인 투자자가 우리 시장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국채 투자에 대한 비과세 절차 간소화, 주식시장 공매도 재개, 외환시장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