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0.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맑음인천 24.3℃
  • 구름조금수원 25.0℃
  • 구름조금청주 25.2℃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전주 26.9℃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맑음여수 25.0℃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많음천안 24.0℃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민관 공동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 가속화



 [데일리연합뉴스 이권희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 25일(월) 수소차 관련 업계와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산업혁신 2020 플랫폼*」 2차회의를 열고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 앞으로 큰 폭으로 성장하는 세계 수소차 시장의 선점을 위해 민관이 전략적으로 협력하여 수소차, 수소충전소, 수소에너지에 이르는 수소차 산업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세계 수소차 시장 선점을 위해 업계와 정부는 ‘18년 1,900억 원, ’19년 4,200억 원 등 ‘22년까지 총 2.6조 원을 투자해 ’20년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21년 연료전지 스택공장 증설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2022년까지 1.6만대의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하여 타 부처와 협업하여 ’19년 수소버스 보조금 신설,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50%), ‘22년까지 수소차 보조금 유지 등 정부의 수소차 지원이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백금촉매 저감 및 대체 촉매 기술개발, 스택 부품 완전 국산화 등 주요 부품소재에 대한 연구개발(R&D) 1,250억 원을 지원해 국내 부품·소재업체의 기술력을 제고하고 상생형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지자체와의 협업하여 `18년 서울, 울산을 시작으로 `19년 전국 5개 도시 시내버스 정규노선에 수소버스를 투입하여 국민이 일상에서 쉽게 체감할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고속버스로 확대 추진하여 ’22년까지 총 1천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과 관련, 현재와 같은 지자체・연구기관 중심, 보조금 중심의 방식으로는 조기 구축이 어렵다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1월 출범 예정인 수소충전소 특수법인(SPC)의 성공적인 출범을 지원하고, ▴수소충전소 국산화율 2배 제고(40→80%), ▴압축천연가스(CNG) 개질형 수소승용차·버스 겸용 충전소 개발, ▴이동형 수소충전소 개발을 지원하여 ‘22년까지 충전소 구축비용이 30%이상 줄어들도록 하는 한편, ▴이동식 수소충전소 설치, ▴개발제한구역・연구개발특구내 수소충전소 설치, ▴융복합충전소 설치를 허용하기 위한 규제개선을 ’19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수소에너지는 현재 수소 공급량・공급가격의 불확실성이 높고, 중장기 수소에너지 공급에 대한 예측가능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22년까지 경유・액화석유가스(LPG)보다 저렴한 가격(70원대/km, 넥소 완충시 약 4.5만 원)으로의 공급을 위해 수소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과 유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수소유통센터를 신설(‘19)하여 안정적인 수소에너지 수급 및 가격 관련 정보를 제공․관리하고, ‘19년에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가스전력화(Power-to-Gas: (P2G)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해 친환경 수소생산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18년말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관련 내용 반영을 추진하는 등 수소경제 관련 법·제도 기반 확충을 적극 추진해 수소 에너지 관련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소 경제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소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의 전략적 협력과 투자를 통해 ‘18년 400개, ’19년 480개, ‘22년까지 총 3,800개의 일자가 창출 될것으로 보인다..



[무단전제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