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배너

국제

대학생·직장인 "빚 다 갚으려면 최소 연봉 3천은 돼야"


[데일리연합 남윤정기자] 대학생과 직장인 2명 중 1명은 빚을 갚으려면 연봉이 최소 3천만원 이상 받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대학생 및 직장인 458명을 대상으로 채무 상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먼저 현재 빚이 있는지 묻자 59.8%가 ‘있다’고 답했으며, ‘없다’고 답한 응답자 중 45.1%가 ‘과거에 빚을 진 적이 있다’고 답했다. 

과거에 빚을 진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들의 67.5%는 빚의 규모가 500만 원 미만 ▲500만 원 이상 1천만 원 미만(21.7%)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미만(6.0%) ▲3천만 원 이상(4.8%) 순이었다.

빚을 지게 된 이유는 학자금 대출이 48.2%로 가장 많았고 ▲생활비가 모자라서(25.3%) ▲집안 문제 때문에 큰 돈이 필요해서(12.0%)가 뒤를 이었다. 빚을 다 갚는 데 걸린 시간은 ▲1년 이내(41.0%) ▲1년 이상 2년 미만(36.1%) ▲3년 이상 5년 미만(10.8%) 순이었으며, 빚을 갚은 방법은 ▲스스로 벌어서 갚았다(63.9%) ▲부모님의 도움을 받았다(34.9%)로 나타났다.

현재 채무가 있다고 답한 사람들의 경우 ▲500만 원 이상 1천만 원 미만(30.3%)이 가장 많았으며, ▲500만 원 미만(28.8%)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미만(25.2%) ▲3천만 원 이상(15.7%)로 나타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채무가 있는 이유는 ▲학자금 대출(58.4%) ▲생활비가 모자라서(19.0%) ▲집안 문제 때문에 큰 돈이 필요해서(13.1%)로 과거에 빚을 진 이유와 같은 양상을 보여줬다.

채무가 있는 사람들 중 ‘제1금융권이 아닌 제2, 3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본 경험’을 물어본 결과 ▲대출을 받아본 적이 없다(71.5%) ▲대출을 받아보았다(28.5%)로 조사되었다. 대출 받은 돈의 이율은 ▲0~5%미만(47.4%) ▲5~10%미만(29.2%)로 저금리 대출이 우세했으나 ▲10~20%미만(13.5%) ▲30%이상(5.1%) ▲20~30%미만(4.7%)로 나타나 고금리 대출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몇 년 내 빚을 다 갚는 게 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 묻자 응답자의 38.7%는 1년에서 2년 사이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그 뒤를 ▲3년 이상 5년 미만(23.7%) ▲5년 이상(22.6%) ▲1년 이내(15.0%)라고 답해 짧은 기간 내에 빚을 청산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빚을 어떻게 갚을 계획인지’를 묻는 질문에 82.8%의 응답자가 ‘스스로 벌어서 갚을 계획이다’라고 답했고, ▲다른 은행이나 기관에서 또 대출을 받을 생각이다 ▲잘 모르겠다는 답이 각각 4.7%로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에게 ‘앞으로 빚을 다 갚으려면 연봉이 어느 정도 되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이에 대한 대답은 ▲3천만 원 이상 5천만 원 미만(52.6%) ▲3천만 원 미만(25.9%) ▲5천만 원 이상 7천만 원 미만(15.3%) ▲1억 원 이상(3.3%) ▲7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2.9%) 순이었다. 

다음으로 ‘평소 1, 2금융권의 다른 점이나 예금, 대출 이율 간의 차이를 알고 있었는지’ 묻자 ▲알고 있었다(62.5%) ▲몰랐다(37.5%)로 나타났고, 이어서 ‘금융에 대해 좀 더 잘 알았더라면 빚이 없거나 좀 더 적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묻자 ▲빚은 있어도 좀 더 적었을 것 같다(52.4%) ▲금융에 대해 잘 알았어도 지금만큼 빚을 졌을 것 같다(34.2%) ▲빚이 없었을 것 같다(13.4%)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육과정에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았다. ▲금융 교육이 너무 부족하므로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79.8%)는 답이 가장 많았고, ▲잘 모르겠다(11.5%) ▲금융 교육 같은 건 필요 없다(8.7%)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김다슬(28세, 남)씨는 “등록이 부담돼 학자금 대출을 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빚을 갚기 위해 연봉이 최소 3천만 원 이상 되는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군포문화재단 군포시평생학습마을, '신중년 리본Re_Born학교' 개강식 진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군포문화재단 군포시평생학습마을은 8일, 군포시평생학습관 대강당에서 ‘신중년 리본Re_Born학교’ 개강식을 개최했다. 경기도와 군포시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신중년 리본Re_Born학교’는 100세 시대에 신중년(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 이후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교육 및 활동 지원사업이다. 올해에는 경력 개발을 위한 도슨트양성반, 인형극공연반, 반려동물문화반, 패브릭재봉반과 자격 취득을 위한 시니어모델반, 방과후지도사반, e커머스창업반, 퍼스널컬러반으로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정이 개설된다. 총 120명의 시민들이 오는 8월 말까지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 수료 후에는 동아리를 구성하여 학습나눔 및 지역사회 연계 활동 등 후속활동을 활발히 이어갈 예정이다. 개강식에는 하은호 군포시장과 전형주 군포문화재단 대표이사가 참석, 학습자들의 인생 전환기를 위한 새로운 도전을 격려했다. 또한 작년 퍼실리테이션 과정 수료생들이 결성한 동아리 ‘퍼실톡톡’이 개강식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퍼실리테이션 활동을 진행하며 학습 동기를 북돋우고 학습자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