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숙면에는 혈당지수 높은 '흰 쌀밥'이 빵보다 효과적


[데일리연합 남윤정기자] 밤마다 숙면을 취하지 못해 업무 중 졸음에 시달리는 사람에게는 빵과 같은 밀가루 음식보다는 흰 쌀밥을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흰 쌀밥을 먹은 사람이 밀가루 음식을 먹은 사람보다 더 숙면을 취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빵이나 국수 섭취량과 숙면은 아무런 연관이 없었다.

일본 이시카와현의 가나자와 의과대학에서 발표된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흰 쌀밥이 숙면에 효과적인 이유에 대해 통밀빵보다 혈당지수(GI, Glycemic index)가 높아 탄수화물 성분이 당(Sugar, 糖)으로 더 빨리 분해되어 혈관으로 흡수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은 트립토판(tryptophan)이라 불리는 단백질 수치를 더 빨리 증가시키며, 증가한 트립토판이 수면을 촉진하는 성분인 세로토닌을 두뇌에서 분비하게 한다. 세로토닌은 기분을 조절할 뿐 아니라 식욕, 수면 등의 기능에 관여한다. 세로토닌이 모자라면 우울증, 불안증이 생긴다.

한편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으로는 감자, 흰 쌀밥, 콘플레이크 등이 있으며,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에는 현미밥, 통밀빵, 닭고기, 지방이 함유된 생선 등이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슈분석] '공급과잉-고유가' 이중고 석유화학업계, 체질 개선 돌입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전례 없는 복합 위기에 직면해 대대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중국의 생산 설비 증설에 따른 공급 과잉, 국제 유가 상승, 글로벌 수요 둔화 등 삼중고 속에서 주요 기업들은 구조조정과 사업 재편에 나서며 체질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2025년 1분기 실적과 산업 전반에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2024년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합성수지·합성원료·합성고무 3대 부문 내수는 972만 톤으로, 최근 10년간 처음으로 1,000만 톤 아래로 감소했다. 이는 중국이 자국 내 대규모 생산시설을 확충하면서 자급률을 높이고, 수출 중심 시장을 잠식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공급 과잉과 수익성 악화는 구조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이영준 대표이사 사장)은 최근 울산공장에서 생산직 장기 근속자들을 대상으로 명예퇴직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건비 절감 및 효율화 전략의 일환인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타임즈 인터뷰에서 롯데케미칼 측은 "구조조정이라기 보다는 조직 운영 효율을 높이는 구조로 개편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LG화학(대표이사 부회장 신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