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5.16 (목)

  • 맑음동두천 18.2℃
  • 구름많음강릉 13.7℃
  • 맑음서울 18.2℃
  • 맑음인천 16.4℃
  • 맑음수원 17.9℃
  • 맑음청주 19.4℃
  • 맑음대전 18.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5℃
  • 맑음울산 19.0℃
  • 맑음광주 20.5℃
  • 구름조금부산 20.8℃
  • 맑음여수 20.9℃
  • 맑음제주 20.5℃
  • 맑음천안 18.6℃
  • 맑음경주시 19.3℃
  • 맑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배너

4차산업포커스)오스트리아식 4차산업 우리의 갈 길을 묻다



제주한라대학교 김갑수박사의 4차산업포커스)  오스트리아는 1938년부터 2차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까지 독일의 점령시기를 제외하고는 민주공화국이었다. 현재 오스트리아는 1995년 이후에 유럽연합에 속해 있다. 오스트리아 의회는 183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매 5년마다 선거를 통하여 새로운 의회가 구성된다.

오스트리아는 우리와는 다르게 수상과 부수상 그리고 각부장관으로 구성된 정부는 국가서기장제도를 갖추고있다.

오스트리아는 알프스를 중심으로 위치하여 소위 “Alpenrepublik”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알프스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으며 인구는 8,8백만이다. 전통적으로 오스트리아 국민성은 평온하고 외부인사들에 대해 매우 친절한 편이다. 오스트리아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산에 오르는 것을 즐겨 하고, 고기를 옷을 입혀 튀긴 Wiener Schnitzel Kaierschmarren을 즐겨먹고, 그리고 맥주를 즐겨 마시는 유쾌한 민족성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경제 체계를 일반적으로 Eco-Social Economy(Oekosozialen Marktwirtschaft)이라고 부른다. 아담스미스가 정의한 자유시장경제를 지향하고는 있지만, 미국 등의 자유서방세계와의 작은 차이는 건강보험제도 그리고 연금제도등과 같은 국민의 삶의 질에 관련된 부분은 국가가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그리고 유럽의 다른 국가들과도 차별화된 정책으로는 환경 즉 “Eco-“를 정책의 기본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즉 국가가 자연환경을 관리하고 보존하는 것을 기본 정책으로 삼고 매우 높은 수준의 환경정책을 펼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경제규모는 386 milliarden Euro, 실질적 실업률은 4%정도이다. 오스트리아의 경제를 이끌어가고있는 산업구조는 대기업이라기보다는 중소기업들이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특히 기술집약적인 중소기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간 수입은 155,7 milliarden이고 수출은 150 milliarden으로 5,7 milliarden의 차이는 있으나 오스트리아정부가 충분하게 감당할 수 있는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무역상대국은 독일과 이탈리아이고, 유럽연합외국가로는 미국과 중국을 들 수 있다

오스트리아는 산업혁명 이후에 많은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노동자들의 힘과 땀 그리고 건강을 담보로 한 산업구조(Industry 2.0)을 가지고 있었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오스트리아는 가족단위의 중소기업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작은 기업들은 기본적인 기술력은 갖추고 있지만,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시설을 투자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이러한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산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이높은 기업으로 만들어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까에 주목하면서 오스트리아식 인더스터리 4.0(Oestereiche Industry 4.0)을 준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와 고용노동부등의 부처가 융합된 위원회를 구성했다.

Plattform Industrie4.0
은 오스트리아의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경쟁력강화를 통한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발판을 마련하는 기반을 만들어주었다. 기술혁신의 골자는 자동화와 표준화를 통한 생산력증대와 교육제도의 개편을 통한 인력의 고급화가 오스트리아가 추구하는 Plattform Industrie 4.0의 중요한 과제였다.

오스트리아는 대량생산과 맞춤형으로 생산된 제품의 생산 단가를 일정한 범위 안에서 비숫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 현대화시키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물론 대량생산은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생산공정을 단순화하고, 동일한 제품을 균질 하게 생산하는 것이 목표인 것은 분명하지만, 대량생산과 주문형 맞춤생산품의 단가를 맞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이거나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전문가들의 생각이지만, 오스트리아는 부품의 표준화와 기술의 숙련도를 높여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국가의 기본 아젠다로 잡은 것은 다른 여느 국가에서 목표로 삼고 있는 4차산업과 Industrie 4.0는 충분한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첫 단계는 안전성(safety or security), 즉 모든 데이터를 헤 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넘을 수 없는 방화벽을 설치하여 기업의 보호되어야 할 비밀을 국가의 주도하에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오스트리아의 기본정책을 모든 기업이 이해할 수 있는 소통네트웍 networks or communication Industry 4.0을 통하여 모든 기업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언어를 정리하여 통일시키는 과정을 국가단위로 통일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홍보하여 소통의 어려움을 해소하였다.

그러므로 기업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방, 그리고 중앙정부와 기업간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널을 마련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단계를 성공시킨 것이다. 이러한 소통은 생산공정으로부터 운송등 모든 생산, 유통과 소비를 효율적으로 연결시키는 원활한 초연결시스템을 통한 유통의 번거로움과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산업적 혁신을 가져다 주었다.

세번째 과제는 모든 부품을 표준화, norm compass for Industry 4.0하여 상이한 제품에서도 동일한 코드의 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 작업을 국가주도로 달성하여 맞춤형 주문제작 역시 대량생산과 비슷한 생산단가를 맞출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을 국가주도의 사업으로 달성하고 있다.

지금현재는 약 75%의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2020년에는 85%의 모든 공정과 중소기업을 규격화하는 데 역량을 총동원 할 것이며, 모든 산업분야에서 1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에 가장 필요한 것은 네번째인 인간중심의 사상, 즉 인간과 기계가 경쟁관계가 아닌 인간이 주도하는 기계와 인간의 소통을 이루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작은 중소기업의 근무하는 직원일지라도 대기업의 근무하는 전문가와 마찬가지의 능력을 공유할 수 있는 전문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공유하여, 모든 사람이 4차산업을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오스트리아 4차산업의 핵심과제인 것이다.

아직도 4차산업을 정의조차하고 있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는 정부와 중앙정부와 소통도 안 되는 지방정부는 4차산업을 바탕도 근본도 뼈대도 없어 실현가능성 조차도 거의 없는 인공지능, 로봇, 드론 등의 산업을 4차산업으로 잘못 해석하고 밑 빠진 독인지도 모르고 그냥 예산만 퍼부으면 뭔가 탄생 할 것으로 착각한 채 국민의 세금을 탕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지능, 로봇 그리고 드론 등은 4차산업으로 나올 수 있는 하나의 산물 일뿐이지 이것을 4차산업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커다란 오류를 범하고, 아마도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