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6.10 (월)

  • 맑음동두천 22.7℃
  • 맑음강릉 28.2℃
  • 연무서울 23.8℃
  • 박무인천 21.7℃
  • 맑음수원 23.2℃
  • 맑음청주 26.1℃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8.2℃
  • 맑음전주 25.6℃
  • 연무울산 22.7℃
  • 맑음광주 24.9℃
  • 맑음부산 20.6℃
  • 맑음여수 22.3℃
  • 맑음제주 22.7℃
  • 맑음천안 24.4℃
  • 맑음경주시 25.9℃
  • 맑음거제 22.5℃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문화재청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문화재 등록

 

[데일리연합 김혜정기자] 문화재청은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에 있는 대성암 소장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를 등록문화재 제649호로 등록하였다.

이번에 등록된 괘불도는 가로 305㎝×세로 553㎝ 크기로, 1928년 향암 성엽(香庵 性曄)이 제작하였다. 전면에는 삼존불을 내세웠고 그 뒤쪽으로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그려 화면에 꽉 차게 담은 간단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괘불도 상단의 좌우에는 천으로 만든 복장낭(腹藏囊) 2개가 달려있다. 복장낭은 불화를 조성한 뒤 불경 등 복장품을 넣는 주머니로서, 20세기 전반경 괘불 봉안의식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괘불도의 두드러진 점은 음영법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신체의 윤곽선에는 음영을 주었으며 중앙의 본존불 법의(法衣)에도 윤곽선을 먹으로 그은 후 선을 덧대어 입체감을 살렸다. 채색은 황색, 주황색, 청색, 흰색 등 근대기 불화에 많이 사용된 색상을 사용했다.

고양 대성암 괘불도는 강렬한 안료의 색감과 음영법, 독특한 문양 등 당시의 화풍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근대기 충청지역의 중심 화파인 마곡사 화파(계룡산 화파)의 특징이 잘 표현된 것으로 평가되어 등록문화재로 등록됐다.

문화재청은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이번에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여주시의회 경기도시군의장협의회 의정대상, 지방봉사상 수상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장우혁 기자 | 2024년 6월 7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 의정대상 시상식』에서 여주시의회 정병관 의장이 ‘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제70회 여주시의회 제1차 정례회』 개최로 인해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지만, 그의 공로가 인정되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상은 지방의회 위상 강화와 경기도 시·군의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의장의 공로를 인정하여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가 수여하는 상이다. 정병관 여주시의회 의장은 『한글특화의회』를 의정목표로 정하여 ‘시민이 주인이 되고 행복한, 소통과 협치의 여주시의회’라는 의정 슬로건을 바탕으로 “선민후당”, “선공후사”의 정신과 한글을 창제하신 조선 제4대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님의 『위민,애민,창조 정신』을 기반으로 항상 주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소통하는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성실히 수행해왔다. 또한, 2024년 5월에는 『여주시 한글문화도시 실현을 위한 2024 세종한글 의정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여주시의 한글문화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정병관 의장은 “이번 의정대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