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29.7℃
  • 흐림강릉 27.4℃
  • 흐림서울 30.3℃
  • 인천 29.2℃
  • 수원 26.0℃
  • 청주 24.5℃
  • 대전 22.9℃
  • 대구 23.9℃
  • 전주 23.5℃
  • 울산 23.2℃
  • 광주 23.9℃
  • 부산 22.6℃
  • 여수 23.8℃
  • 제주 28.1℃
  • 흐림천안 23.8℃
  • 흐림경주시 24.0℃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보건복지부, 한밤중의 불청객 불면증 증상 및 극복 방법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기자 | 혹시 나도 불면증?

불면증의 원인과 간단한 자가 진단 테스트로 확인해 봐요.

 

불면증 자가진단 테스트

 

1. 수면 중 답답함을 느낄 때가 있다.

2. 일어나면 꿈이 생생하게 기억난다.

3. 자는 중에 TV 소리, 차 지나가는 소리가 신경 쓰일 때가 종종 있다.

4. 잠에서 깨면 상쾌하지 않고 머리가 무겁다.

5. 잠드는데 30분 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다.

6. 건망증이 심하다.

7. 우울한 기분이 자주 든다.

8. 푹 자지 못하고 한두 번 잠에서 깬다.

9. 잠을 자고 나도 개운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10. 모든 일이 귀찮을 때가 많다.

 

해당 사항 1~5개 → 주의 단계

해당 사항 6~9개 → 높은 확률로 불면증, 규칙적인 생활, 치료 요망

 

불면증의 원인

 

1. 섭씨 25도 이상의 열대야 더위

- 사람의 적정 수면 온도 섭씨 20도

 

2. 뇌를 자극하는 요인들

- 불안, 우울증, 예민한 성격, 호르몬 변화

 

3. 숙면에 적합하지 않은 주변 환경

- LED 조명,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블루라이트, 주변의 소음

 

불면증의 증상과 악영향

 

'불면증 증상'

· 수면개시장애 : 잠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림

· 수면유지장애 : 잠에서 깨고 나면 다시 잠이 오지 않음

잠자리에 들기 전부터 생리학적, 심리학적 각성의 증가로 수면에 대해 부정적임

 

'불면증으로 보지 않는 경우'

하루 이틀 잠을 자지 못했을 때, 정신건강이나 내과적 병력·남용물질 등으로 수면 장애 증상을 보일 때

 

불면증 치료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1. 자기 전에 핸드폰 멀리하기

2. LED 조명 끄기

3. 알코올·카페인 섭취 줄이기

4. 낮에 꾸준히 운동하기

 

'증상이 심할 경우'

전문가와 상의 후에 수면유도제,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 수면제 복용하기

 

불면증 극복 생활 가이드

 

1. 매일 같은 시각에 일어나기

2. 하루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 제한하기

3. 낮잠은 되도록 피하기

4. 오전 중에 활동적인 신체 운동하기

5. 라디오를 듣거나 편안한 책 읽기 등으로 TV를 보는 것을 대체하기

6. 잠자기 전 따뜻한 물로 20분 정도 샤워하기

7.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하기

8. 잠자기 전 많이 먹는 것은 피하기

 

불면증에 좋은 음식

 

· 대추

- 몸의 긴장 완화

- 소화 기능 강화

 

· 통밀

- 가슴의 답답함 해소

- 숙면 유도

 

· 검은콩

- 갱년기 증상 완화

- 숙면 유도

- 스트레스 해소

- 소화 기능 강화

 

건강하고 규칙적인 수면습관과 낮 동안의 꾸준한 활동으로 미리미리 불면증을 예방합시다!


[뉴스출처 : 보건복지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뉴스後) 인권위원회 김용원 "기레기 막말" 사과거부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김용두 기자 | 기자를 지칭해 "기레기"라는 막말로 논란을 빚은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26일 기자회견에서 "소신발언 할 수 있다" 기자들의 사과 요구를 거부했다. 취재진이 기자들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냐고 묻자 "비공개회의에서 발언한 것이고 그 내용을 사무총장이 그대로 소개했던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김 용원 상임위원은 앞서 13일 열린 인권위 상임위원회에서 "기레기들이 들어와 방청하고 쓰레기 기사를 쓴다" "인권 장사치들도 방청하고 회의 내용을 왜곡하고 인권단체가 무분별하게 인권위원 사퇴를 요구하는 작태가 벌어진다" 등의 발언을 하며 막말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사회단체가 자신에게 비판적인 언론을 ‘기레기(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비속어)’, 인권시민단체를 ‘인권 장사치’라고 폄하한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58개 인권단체가 모인 ‘경로이탈 인권위 바로잡기 공동행동’은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김 상임위원이 아무리 언론을 모욕하고 인권운동과 인권단체를 폄하해도 자신의 반인권 행위는 숨길 수 없을 것”이라며 “더 인권위를 망가뜨리지 말고 당장 사퇴하라”고 밝혔다. 김용원 인권위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