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6.6℃
  • 맑음강릉 26.9℃
  • 맑음서울 28.2℃
  • 맑음인천 26.4℃
  • 맑음수원 26.2℃
  • 맑음청주 29.3℃
  • 맑음대전 27.9℃
  • 구름많음대구 27.7℃
  • 구름조금전주 26.7℃
  • 구름조금울산 23.6℃
  • 구름많음광주 27.2℃
  • 구름많음부산 23.1℃
  • 흐림여수 23.4℃
  • 흐림제주 23.0℃
  • 맑음천안 26.8℃
  • 구름많음경주시 26.5℃
  • 구름많음거제 22.7℃
기상청 제공

경주

업체마다 제각각 전기이륜차 배터리... 경주시, 표준 규격 만든다

경주시, 전기 이륜차 보급 확대 위한 배터리 규격 표준화 용역 착수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이권희 기자 | 경주시가 전기 이륜차 보급 확대를 위한 배터리 규격 표준화에 나선다.

 

제조업체마다 제각각인 전기 이륜차 배터리 규격을 표준화시켜 이를 정부에 제안하겠다는 게 골자다.

 

경주시는 경북테크노파크와 함께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Battery Swapping Station : BSS) 표준 제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 용역에 착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국내외 e-모빌리티 현황 분석, 배터리 공유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실증적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용역 기간은 다음달부터 11월까지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2억원이다.

 

전기 이륜차는 대기오염과 소음문제를 해소할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충전 시간이 회당 4~5시간으로 긴 게 최대 단점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경주시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대신,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의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을 대안으로 꼽고 있다.

 

물론 배터리 표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숙제가 있지만,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이 정착만 된다면 배터리 충전에 따른 불편은 사라지게 된다.

 

이에 경주시는 일찌감치 사업비 441억원을 들여 배터리 교환형 배터리팩과 충전스테이션 운영·관리 등에 관한 연구를 해 왔다.

 

경주시가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황리단길 2곳, 서울 2곳, 경기 1곳에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을 설치하며 실증연구를 펼쳐왔고, 올해는 동국대 와이즈캠과 사적지 등 지역 2곳에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을 설치해 사업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이번 용역은 표준 제정의 바탕이 되는 데이터 수집이 관건인 만큼, 앞서 설치된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 2기와 전기이륜차 32대를 실제 운행하며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배터리 표준화 연구에 나설 방침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배터리 공유시대를 앞당기고 교환형 충전 인프라 구축과 배터리 규격 표준안을 정부에 제안해 국내 전기이륜차 산업 생태계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오세훈 서울시장, AI 기술로 디지털 성범죄 대응 노력…행정의 노벨상 'UN 공공행정상' 본상 수상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임재현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오전 11시 35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연수구 송도동 센트럴로 123)에서 열린 ‘2024년 유엔 공공행정 포럼 및 공공행정상 시상식’에 참석해 행정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UN 공공행정상’ 본상을 수상했다. 공공행정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상인 ‘유엔 공공행정상’은 유엔 경제사회국(UNDESA)이 공공행정의 중요성을 알리고 혁신적인 정책을 발굴 전파해 전 세계 공공행정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2003년 제정된 상으로 지난 2022년부터 격년으로 시상하고 있다. 올해는 공공기관 혁신, 양성평등 공공서비스, 기후변화 대응(특별상) 등 3개 분야에서 서울시를 포함해 총 12개국 15개(본상 6・입선 9) 기관이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이날 오 시장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리준화(Li Junhua) 유엔경제사회처 사무차장을 비롯한 UN 공공행정상 수상국 등 100여 개국 1천여 명 앞에서 양성평등 공공서비스 분야의 유일한 본상 수상자로 단상에 올라 리준화 유엔경제사회처 사무차장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서울시는 전국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