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6.10 (월)

  • 맑음동두천 28.9℃
  • 맑음강릉 29.5℃
  • 맑음서울 29.5℃
  • 맑음인천 27.6℃
  • 맑음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맑음대전 29.7℃
  • 맑음대구 30.6℃
  • 구름조금전주 30.7℃
  • 구름많음울산 29.7℃
  • 맑음광주 29.9℃
  • 박무부산 24.4℃
  • 구름조금여수 25.3℃
  • 맑음제주 28.8℃
  • 맑음천안 28.6℃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28.9℃
기상청 제공

서울

서초구, 2026년까지 3개권 권역별 치매안심마을 조성한다

올해부터 안심마을 내 치매거점약국 10개소를 ‘동네건강상담방’으로 운영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박해리 기자 | 서울 서초구가 노령화, 독거노인 증가율이 높은 지역인 내곡동, 양재1동, 방배2동 3곳을 ‘치매안심마을’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치매안심마을’은 치매어르신과 가족들이 거주한 지역에서 사회활동을 유지하면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웃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서초구는 지난 2018년 내곡동을 시작으로, 2020년 양재1동, 2023년 방배2동을 치매안심마을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 내곡동, 양재1동이 보건복지부 지정 ‘우수 치매안심마을’로 선정됐다. 구는 올해 방배2동이 ‘우수 치매안심마을’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서초형 치매안심마을’ 운영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서초구 치매안심마을에서는 치매전문인력이 직접 가정에 방문하는 ‘1:1 맞춤형 인지재활프로그램’을 비롯해 치매가족의 부양부담을 덜어주는 ‘전문치료 지원’, 심리회복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또,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 치매어르신을 대상으로 ’서리풀 기억키움 봉사단‘을 꾸려 병원동행, 장보기, 산책, 차 마시기 등 동네한바퀴 일상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양재1동과 방배2동 어린이공원·산책로 등에는 치매예방 게시판 및 치매안심마을을 안내하는 로고젝터, 치매안심마을 음성안내기를 통해 치매예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치매안심길 인증사진을 응모하는 ’제2회 치매안심존 포토 인증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치매친화적 환경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서관, 경찰서, 약국, 카페, 편의점 등 90곳을 ‘치매안심마을 협약기관’으로 지정해 치매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치매거점약국 10곳을 지정해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상담과 말벗을 제공하는 ‘동네 건강상담방’을 운영할 예정이다.

 

향후 구는 '25년에 서초권역에 치매안심마을을 신규 지정해 '26년까지 보건복지부 우수 치매안심마을로 인증받아 양재·내곡권, 방배권, 서초권 3개권역 치매안심마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성수 서초구청장은 “앞으로도 구민들이 건강한 노후를 보내도록 차별화된 치매예방 시스템을 마련해 ‘치매안심도시 서초’를 만들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ESG경영에 구멍나... 전기작업중 사고로 생을 마감한 50대 배테랑 지하철 노동자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서울 연신내역에서 전기작업 도중 감전사한 50대 노동자의 비극이 전해졌다. 유가족과 동료들은 깊은 슬픔에 잠겨 있으며, 정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서울교통공사(서울메트로, 대표:백호) 소속 A씨(53)가 서울 3호선 연신내역 지하 1층 전기실에서 전선 케이블을 분류하는 작업 중 감전사했다. 이 사건은 지난 9일 오전 1시 36분경 발생했다. A씨는 후배 직원 2명과 함께 진공차단기(VCB) 패널 단전 작업 중이었으며, 고압 케이블에 스티커를 붙이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현장에 있던 동료들은 즉시 119 구급대를 호출하고 A씨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으나, A씨는 병원으로 이송된 후 끝내 숨을 거두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 경영책임자 리스크 확대 서울교통공사 백호 대표가 미래지향적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ESG 경영을 실천한다면서 소비자(고객)의 안전과 사실인정 등 사회적 책임을 등한시한다면, 이는 불을 보듯 기업의 최종 결제권자인 오너나 대표이사의 책임경영 리스크로 번질 것이 자명하다는 점을 잘 인지하길 바란다. 이번 사고 현장은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