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메가MGC커피(윤영사 앤하우스, 대표 김대영)'의 큐브라떼 음료에서 바퀴벌레가 나왔다는 제보가 들어와 논란이 일고 있다. 언론제보플랫폼 제보팀장에 따르면, 지난 24일 한 제보자는 메가커피 부산 광복 2호점에서 큐브라떼를 테이크아웃해 집에서 두고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다시 마시던 중 음료 속에서 바퀴벌레를 발견했다. 충격을 받은 제보자는 어머니와 함께 해당 매장을 찾아 항의했으나, 담당자는 바퀴벌레가 제조 과정에서 들어갈 리가 없다며 보상을 거부했다. 제보자는 담당자에게 연락처를 남기고 매니저의 연락을 기다렸으나, 이틀이 지나서야 환불 처리만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제보자는 "이번 사건으로 매우 당황스럽고 화가 났다"고 심정을 전했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이 메가커피 관계자를 취재한 결과, 메가커피 관계자는 "해당 매장은 세스코의 정기적 검사로 해당 바퀴벌레가 매장에서 서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게다가 해당 매장은 주기적으로 세스코를 통해 위생 관리를 하고 있는 곳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로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내용도 허위다. 매장 관계자는 본사 컴플레인 매뉴얼을 따라 바로 제보자에게 사과했다. 메가커피는 세스코와 협약을 맺고 위생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이런 점을 꼭 알아주셨으 면 한다"고 해명했다. 메가커피는 국내 저가형 커피 브랜드로 3000호점을 돌파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편, 지난해 메가MGC커피는 사용하는 원두의 통관하는 과정에서 곰팡이 독소 성분인 오크라톡신A가 검출됐다는 논란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당시 메가커피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제품에 대한 인수를 거절하고 반송조치해 시중에 유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메가MGC커피의 규모가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운영사인 앤하우스 김대영 대표의 책임경영에 대한 기대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관심과 사랑으로 성장한 만큼 진정성을 인정받기 위해 특히 각 매장의 위생 관리와 고객 응대 방식에도 더욱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The SDIJ academy, which was fined hundreds of millions of won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in 2023 for false advertisements that half of the medical school's regular admissions were from SDIJ, has been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this time due to excessive demand for textbooks. Textbooks per subject cost 130,000 won to 280,000 won per month. The problem is that textbooks are being sold in a hard-sale method, not in a hard-sale method. The academy should allow students to select and purchase only the textbooks they need, but individual choices are currently not possible. Students have to cry and buy a set of lectures and textbooks, In this case, if you refund unnecessary textbooks, you will not be able to take lectures. Students and parents are complaining about this.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의대 정시 합격자 중 절반이 시대인재 출신이라는 허위 광고로 수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는 시대인재(하이컨시, 대표 박근수)학원이 이번에는 과도한 교재비 요구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최근 시대인재 학원은 수강생들에게 교재를 강매 아닌 강매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학원 측은 수강생들이 필요한 교재만 선택해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현재는 개별 선택이 불가능하다. 수강생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강의와 교재를 세트로 구입해야 하며, 이 경우 필요 없는 교재를 환불할 시 강의를 들을 수 없게 된다. 이에 수강생들에게 교묘하게 강매를 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대인재의 한 과목당 교재비는 한 달에 약 13-28만원이다. 문제는 수업 시간에 다루지도 않는 교재까지 강제로 구입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에 학부모들은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 강남, 서초, 송파 등 일대의 학부모들이 애용하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다 풀 수도 없는 교재를 무조건 사야한다니 이건 강매다", "필요 없는 교재까지 사야하고 환불하면 강의를 들을 수도 없다", "교재가 너무 많고 지나치게 비싸다", "환불 정책도 제각각이다"는 등 불만의 목소리가 올라왔다. 대다수 시대인재에서 판매하는 교제가 필요가 없는데 사야하는 교재가 많고 사지 않으면 강의를 수강을 할 수 없는 등 강매에 해당한다는 내용이다. 한 학부모는 “수능 다섯 과목을 수강할 때 한 달 교재비가 약 80-100만원(수강료 150만원)에 달하지만, 해당 수강생이 다 풀 수 있는 분량이 아니어서 몇 권만 사고 몇 권은 구매하지 않겠다고 하니, 시대인재 학원 측에서는 모든 교재를 구매해야만 수업 참여가 가능하다고 강요했다”고 토로했다. 또 따른 학부모는 "교육청에 민원을 접수했으나 학원 교재비는 갯수와 금액 제한이 없어 법적 제재는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교육청의 미온적인 태도에 이해가 되지 않고 이러한 행태가 편법을 악용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이타임즈M 이슈탐사팀이 시대인재 학원측에 인터뷰한 결과, 학원 관계자는 "교재를 강매한 적은 없다. 교재비를 환불해 달라고 하면 해줬으며, 다만 교재를 구매하지 않을 시 해당 과목에 대한 원활한 수강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은 설명드리고 있다. 다만 환불 요청을 한 분들이 100명 아래로 소수이며 오히려 더 다양한 교재(콘텐츠)를 만들어 달라는 반대 의견도 많아 곤란한 입장이다"고 해명했다. 강남교육청 관계자는 "학원에서 직접 교재를 판매하는 건 불법이나, 별도로 출판사 사업자를 내서 교재를 판매하는 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따로 교재비와 관련해서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은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3월 27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발표에 따르면, 지난 3월 시대인재 학원 운영사인 하이컨시의 온라인 강의 사이트에서 회원 1만 5,143명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대거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시대인재 학원을 운영하는 하이컨시에 대해 과징금 2억 8,000만 원과 과태료 1,020만 원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 조사에 따르면, 하이컨시에서는 해커의 웹 취약점 및 무차별 대입(Bruteforce) 공격으로 회원 15,143명의 성명, 휴대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해킹 공격을 당한 누리집에 침입탐지시스템 등을 운영하지 않은 것은 물론,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 시 안전한 인증 수단을 적용하지 않았다. 또한, 유출인지 후 24시간을 경과하여 유출신고·통지를 완료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의 안전조치 의무 및 제39조의4제1항의 유출신고·통지 의무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하이컨시는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부당 광고 행위로 제재를 받기도 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하이컨시는 근거 없이 '수강생 수 1위'라고 광고하거나, 의대 합격 수강생 수를 부풀린 것으로 파악돼 3억 천 800만 원의 과징금을 부여받았다. 하이컨시는 시대인재 학원 운영사로 사교육 1번지인 대치동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학원으로, 오우석씨가 2013년 10월 '시대인재 학원'으로 처음 창업했다. 시대인재는 2016년 11월 하이컨시 이름의 법인으로 전환했다. 시대인재는 서울 대치동의 중소형 학원을 타깃으로 연쇄적인 인수합병(M&A)를 추진해왔으며 2017년에는 재수종합반을 개강하고 2020년 10월에는 알짜배기 소형학원 S1학원까지 흡수 합병했다. 이어 2021년 1월과 같은 해 3월에는 대치동 알짜배기 중형 학원인 대찬학원과 새움학원을 흡수 합병했으며 지난해 3월에는 대치동 초·중·고 상위권 학생 위주의 대형 종합학원인 다원교육을 흡수 합병했다. 하이컨시의 2024학년도 매출액은 3300억 원으로 이는 전년보다 26.3% 증가했다. 대입시장 돌풍이 지속되면서 매년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최근 하이컨시는 과도한 사교육 열풍을 부축이는 고가의 학원비와 부당 광고 등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4월 28일 스카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하이컨시가 운영하는 시대인재 재수종합반의 기본 교습비는 2018년도 월 137만 원에서 2023년 170만 원까지 올랐으며, 올해 교습비는 187만 원으로 책정돼 5년 사이에 약 40%가 상승했다. 기타 필요한 학원비를 모두 포함하면 최대 학원비가 월 500만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최근 배달 음식에서 충격적인 이물질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배달 음식에서 커터 칼이 나왔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죠'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동네 김밥집에서 주문한 김밥에서 녹슨 커터 칼 조각이 나왔다고 주장하며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 김밥 용기 안에는 날카롭게 부러진 커터 칼 조각이 담겨 있었고, 이는 썰어진 김밥 옆에 놓여 녹이 슬어 있는 상태였다. A씨는 "씹던 도중 딱딱한 것이 나와 뱉어보니 커터 칼 조각이었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문제는 이후 김밥집의 대처 방식이었다. A씨가 매장에 전화를 걸어 항의했으나, 업주는 “우리 쪽에서 나올 수 없는 물건인데 어떻게 해줄까요?”라며 사과 대신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다. A씨는 “굉장히 신경질적으로 우리를 진상 취급했다”며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에 대해 배달 플랫폼 측에서도 “주문 취소는 불가하다”는 답변과 함께 5000원 쿠폰을 제공하는 데 그쳐 소비자의 불만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A씨는 국민신문고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음식물 이물질 사고가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 마인드의 부재를 드러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배달 음식의 안전성은 소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이에 대한 기업의 철저한 관리와 대응이 필요하다.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은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강조된다. 첫째, 환경적 측면에서 음식물의 안전성과 위생 관리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녹슨 커터 칼이 김밥에 들어간 것은 음식물 제조 과정에서의 심각한 위생 관리 부재를 보여준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기업은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 A씨의 경우처럼 소비자가 직접 매장에 연락했을 때 신속하고 진심 어린 사과와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제공했어야 했다. 소비자를 진상으로 취급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는 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뿐이다. 셋째, 지배구조 측면에서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대기업 배달 플랫폼에서도 이번 사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ESG 경영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실제 경영 현장에서 실천될 때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사소한 문제라도 소비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배달 음식에서 커터 칼이 발견되는 충격적인 사건을 통해 기업 오너들은 ESG 경영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 마인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는 단순한 이미지 제고를 넘어, 진정한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Consumers are criticizing Kyochon Chicken for its hygiene management problems at a franchise store in Kyochon Chicken. According to the report, chicken was being prepared to be sold at a store in Kyochon Chicken in Seoul with sprawling on the floor. The incident was reported through a consumer's online cafe report. Kyochon Chicken's headquarters explained that it was insufficient for employee hygiene training at affiliated stores and explained that it delivered a certain amount of money to the informant as an apology. However, some are criticizing Kyochon Chicken for taking the hygiene issue lightly and trying to shift the responsibility to only franchises. Food hygiene experts point out that there is a need for a thorough response at the headquarters level and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올해 1월부터 상시근로자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된 가운데, 이들 기업의 10곳 중 8곳 가까이는 여전히 관련 법 대응 준비를 마치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측면에서 오너의 경영 마인드 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466개 기업을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준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7%가 '아직도 법 의무 준수를 완료하지 못했다'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조사 당시의 94%보다 다소 낮아진 수치이나, 여전히 다수의 기업이 법 의무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재해처벌법 의무 준수가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인력이 없어 사업주 혼자 안전 업무를 수행해서'라는 응답이 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무 사항이 너무 많고 복잡해서'(36%), '의무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서'(12%), '법을 준수할 준비 기간이 부족해서'(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 오너들이 ESG 경영 마인드를 개선하여, 직원 안전을 경영의 핵심 가치로 삼아야 함을 강력히 제기하고 있다. ESG 경영은 단순한 법 준수가 아니라,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요소다. 오너들은 안전불감증을 해소하고 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의 전반적인 안전 문화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 재유예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 비율은 86%에 달했으며, 법 개정 시 우선 추진 사항으로 응답 기업의 51%가 '소규모 기업에 대한 의무 사항 축소'를 꼽았다. 그다음으로 '의무내용 명확화'(25%), '중대재해처벌법 폐지'(12%), '처벌수준 완화'(12%) 순으로 응답률을 보였다. 경총은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50인 미만까지 중대재해처벌법이 전면 적용됨에 따라 법 준수 이행과 처벌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의 실태가 조사로 나타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소규모 기업의 법 준수를 돕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업종 특성에 적합한 매뉴얼·가이드 보급'이라는 응답이 3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안전설비 비용 지원 확대'(23%), '전문인력 지원 확대'(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로부터 컨설팅과 같은 산재 예방 지원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29%에 불과했다. 이는 작년 말 조사 때의 18%보다 높아진 수치이나, 여전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임우택 경총 본부장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여부 판단이 나오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중소·영세기업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라도 정부와 국회가 하루빨리 중대재해처벌법 재유예 등 법률 개정을 추진하고 산재 예방 지원도 적극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몇 개월이 지났으나, 여전히 많은 중소기업이 법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정부와 국회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오너들은 ESG 경영 마인드를 강화하여,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안전불감증을 해소해 사고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이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길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지난해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로 큰 논란을 빚었던 MG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 이하 '새마을금고')의 일부 지점의 대수단이 1100억 원 상당의 물건지를 내부 담합을 통해 공매로 편취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그 파장이 예상된다. 데일리연합이 입수한 제보에 따르면, 부산에 위치한 대연6동새마을금고 등 21개 새마을금고 지점의 대주단이 1100억 원 상당 물건의 공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한이익상실을 이유로 물건주의 공매 취소 요청을 거부하고, 매수자를 미리 지정해 물건지를 넘기려는 내부 담합을 모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대주단 회의에서 초읍동새마을금고 관계자가 매수자가 준비됐고 이미 입찰 의향서까지 받아 놓았다. 새마을금고 중앙회의 은행장과 임원진이 해당 건을 몰랐을 리 없다"며 "중앙회 임원들의 개입 여부와 입장을 신속히 밝혀야 한다. 특히 담합의 중심에 선 대연6동, 초읍동새마을금고의 이사장 및 임원진의 내부 단합 여부 또한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일리연합이 공매가 진행중인 물건의 대표 기업주를 인터뷰한 결과, 기업주는 "1100억 물건지에 대해 3월 30일까지 이자 3억 5000만원을 새마을금고 측에서 요구해 4월 3일에 준비해서 연락했으나 3일이 늦었다고 4억 5000만 원을 요구했다. 4월 25일에 다시 4억 5000만 원을 준비해 찾아갔으나 정상 이자 5억 5000만 원을 준비하라고 했다. 이후 새마을금고에서 계좌를 개설해줘서 6억 원의 이자를 입금했다. 이후 대주단과의 논의에서 삼성증권과 농협의 대환대출을 통해 이자지연 연체료까지 모두 정산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대주단 회의에서 새마을금고 측은 '1달 이내 대환대출이 되지 않으면 다시 공매 처리를 해야 한다'고 했고, 결국 이자지연연체료를 11억 원까지 상향하며 끝내 공매 취소 요구를 거부했다"고 경위를 설명했다. 이어 "만약, 매수자를 구해놓고 공매 취소 요청을 거부했다면 그건 위법이다. 이번 일로 스트레스를 받아 건강이 악화되고 있으며 회사를 일으켜 세우려던 희망까지 산산조각났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이해할 수 없다. 조사가 필요하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공매를 주관하고 있는 대연6동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매수자가 정해져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며 그런 논의는 없었다. 그리고 대주단에서 기업주에게 공매를 취소 요청을 받아주겠다고 약속한 적도 없다. 공매 취소 요청을 받아주지 않은 것은 기업주가 이자 납부와 기한이익 상실 등에 따른 연체이자료 납부 계약 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이에 대주단은 안전하게 채권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갚겠다고는 했지만 명확히 어떻게 갚겠다는 것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초읍동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공매 취소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계약상의 합당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며 매수자 사정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데일리연합이 입수한 녹음 파일에 따르면, 대주단 회의 과정에서 매수의향서 얘기를 거론하며 공매 취소 요청을 수락할 수 없는 이유를 적나라하게 말하는 내용이 나온다. 대주단은 기업주 관계자들이 회의를 마친 후 1층으로 내려간 것을 확인한 후 대주단 내부 관계자끼리 대화를 나눴다. 녹음 파일에는 초읍동새마을금고 관계자가 “매수자가 준비됐다. 매수 의향서까지 받았다”고 말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해당 사건은 현재 중앙회 측면에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공매 진행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나, 대주단 관계자 간에 공매를 위한 담합이 있었는지 등 사실 관계는 아직 파악된 것이 없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만약 대주단 측에서 기업주에게 불리한 담합을 하거나 관련 논의가 있었다면 중앙회 측에서도 개입해 사안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법률 전문가는 "제보대로 새마을금고 대주단 회의에서 내부 담합을 통한 공매 편취 시도가 있었다면, 이는 '자본시장법 444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명백한 금융 범죄에 해당된다. 금융사가 담합해 타인의 재산을 고의로 편취하려 한 것으로 해당 금융사는 더 이상 고객들의 신뢰를 통한 영업을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새마을금고가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새마을금고 중앙회까지 연루가 돼 있는지도 세심히 살펴봐야 할 대목이다. 또한 다른 비슷한 피해자가 없는지도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20일 열린 제1차 '상호금융 정책협의회'에서 새마을금고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부실로 인한 상호금융업권의 건전성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실채권 매각 확대와 경공매 활성화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부동산 PF 위기 극복을 위해 민관이 협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마을금고에서 위법 행위가 있었다면 이는 새마을금고의 내부 건전성과 경영 윤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금융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공매 전단계에서 매수의향서를 구해놓고 공매 매각시키려는 행위가 이번 우연히 대주단 자체회의서 우연히 드러나게 된 것인지 금융계에서 관례처럼 만연이 된 도덕적해이로 인한 지배 구조의 문제인 것인지 철저히 규명해야 국민적 눈높이에서 이해될 해당 사건의혹을 새마을금고는 피해갈수 있을것이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교촌치킨 의 한 가맹점에서 발생한 위생 관리 문제가 인터넷 카페와 온라인 뉴스 제보 플랫폼 제보팀장을통해 알려진 후 교촌에프앤비(339770) 에 대한 소비자들의 비난이 점점 거세지고 있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에 위치한 교촌치킨의 한 점포에 방문해 치킨을 사려던 제보자 A씨는 닭들이 매장 바닥 위 비닐봉지 위에 널브러져 있었고 직원들이 그 닭들을 양념하고 튀기는 현장을 목격했다. 충격을 받은 제보자는 이 사실을 알리고자 한 인터넷 카페에 올렸고 이후 교촌치킨 담당자가 찾아와 글을 내려달라며 봉투에 교촌치킨 쿠폰 10장과 현금을 줬고 결국 카페에 올린 글은 내려가게 됐다. 데일리연합 취재 결과, 이번 사건에 대해 교촌치킨 관계자는 "먼저 (제보팀장이 배포한 내용에서) 사실이 아닌 부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며 "카페에 올라간 글을 삭제해달라는 요청은 하지 않았으며, 쿠폰과 소액의 현금은 단지 충격을 받았을 제보자분께 죄송한 마음에 소액의 성의를 표현해 드린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제보자의 요구대로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제재로 영업정지(3일)과 특별교육 입소(2일) 등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안타까운 점은 점주분의 아르바이트 직원 교육이 미흡한 점이 있었지만 닭을 옮기는 중간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고, 사건이 일파만파 동네에 알려지다 보니 해당 점주님이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가게를 내놓게 됐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교촌치킨 교촌에프앤비(339770)가 이번 사태를 단순히 한 가맹점의 종업원 교육 미흡 문제로 치부하고 책임을 회피하려고 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윤기선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식품 위생 관점에서 바닥과 비닐위에 닭을 올려놓았는데 일단 바닥에 바로 놓치 않았다 해도 냉장고에 보관해야 될 식품을 실온에다 그것도 바닥 과 비닐 위에 올려놓았다는 것은 식품 위생면에서는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다. 얼마나 오래 두었는지 알 수 없으나 절차상 있었던 행위라 해도 위험성이 높다. 특히 닭은 살모넬라, 캠필로박터 균과 같은 병원성 식중독균이 많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식품이라 더욱이 유통 환경에서도 낮은 냉장온도에 보관하고 있다. 살모넬라와 같은 균은 상온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균이라 만약 오래 방치했다면 오염량이 높아졌을 것이다. 튀김이라 74도 이상의 조리온도에서 다 사멸하기는 하나 높은 오염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 다른 식품, 또는 사용하는 조리도구 등을 교차오염시킬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창언 경주대 ESG경영학과 교수는 "ESG에서 "S"는 일반적으로 사회 전체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의미한다"며 "UN책임 투자 원칙(PRI)에는 건강 및 안전, 직원 관계 및 다양성, 지역 사회와 관련된 문제가 포함된다. 특히 식품 기업에게 S는 안전하고 고품질의 제품 및 서비스 제공을 의미한다. 제품의 제조, 유통, 판매 전 과정에서 본사 직원, 가맹주의 고객 서비스를 모두 포함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기업이 ESG 경영에 참여한다는 것은 본사는 물론 가맹주, 직원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을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기업은 더욱 엄격한 제품 안전, 본사와 가맹주, 직원의 고객 서비스 제고를 위한 관리와 감독을 철저히 수행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에 대한 교촌치킨 교촌에프앤비의 대응은 아무래도 실망스러운 면이 있다. 소비자들은 교촌치킨이 본사의 관리 미흡 문제를 인정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교촌치킨은 이번 사태를 통해 다시 한 번 위생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대응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인매일 보도에 따르면, 지난 4월 한 직장인 커뮤니티에는 "교촌치킨에서 날파리 알이 나왔다"는 게시글이 올라와 충격을 준 사건도 있었다. 당시 게시글을 쓴 제보자는 "교촌치킨 매장에 전화를 했더니 점주가 환불 해주겠다는 말을 들었지만, 다시 고객센터에 전화를 했더니 빠른 시일내에 연락을 준다 해놓고 아무런 전화도 받지 못했다”고 불만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세계적인 스포츠 미디어그룹 Sporting News Holdings(TSN 회장 존글리셔)는 글로벌 스포츠 뉴스 콘텐츠 공급사 스포팅뉴스(The Sporting News)의 한국 공식 사업을 TSN KOREA(회장 김용두)를 통하여 오는 7월부터 웹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TSN은 세계 탑 스포츠전문 뉴스언론인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를 소유한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다. 스포팅뉴스(The Sporting News)는 미국에서 1886년 스포츠 전문 매거진으로 시작하여 스포츠 일간지로 발행되었다가 현재는 스포츠 온라인뉴스 서비스와 스포츠 데이터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세계 10개국에 공식 서비스, 전세계 월 5천만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는 글로벌 스포츠전문 뉴스매체이다. TSN은 NBA(프로농구리그), NFL(미식축구리그), MLB(야구리그), NCAA(미국대학스포츠협회), F1(레이싱스포츠), MMA(격투기스포츠), UFC(격투기스포츠), FIFA(축구리그)등 굵직한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와 인기 스포츠인 축구, 야구, 농구, 골프, 복싱,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 데이터를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약 10개국에서 각 나라 에디션을 통해 신속하게 서비스하고 있다. 이번 한국의 합류는 다양한 해외 스포츠 콘텐츠를 한국에 공급하는 동시에 K스포츠 콘텐츠의 글로벌 공급을 하게 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로 인하여 잘 알려지지 않아 평가절하되었던 K스포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아울러 전세계에 한국의 스포츠 네트워크가 폭넓게 형성되어 새로운 가치들을 창출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TSN KOREA는 국내 스포츠 팬들에게 단순히 뉴스나 영상을 공급하는 서비스를 넘어, TSN의 다양한 해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 개최하고 글로벌 시즌입장권 판매, 굿즈 사업 등 다양한 사업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TSN 주주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스트리밍 서비스 ‘DAZN’, 다양한 스포츠 경기 데이터 분석을 제공하는 ‘Perform Group’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스포츠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TSN KOREA 김용두 회장은 TSN 그룹 존글리셔 회장과 함께 스포츠 미디어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올바른 스포츠 정신이 사회, 정치,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실현도 함께 협력하자는 데 뜻을 두고 이번 계약이 이루어졌다고 배경을 전했다. TSN KOREA 국제협력담당 이광수(Vito Lee)대표는 “앞으로 TSN KOREA의 성장과 글로벌 뉴스 콘텐츠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서울=주언 기자 invguest@itimesm.com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On the 8th, a serious disaster occurred at around 11 am.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airport in Ulleung-gun, Gyeongsangbuk-do, in which a subcontract worker died. He lost his life after being buried in the soil that had been pushed down from an excavator digging the grou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nine people were killed in eight serious disasters at DL E&C. It is the largest single company with the largest number of major disasters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 Act DL E&C, chairman of DL Group Lee Hae-wook, who was criticized in politics and civil society due to a series of serious disasters, tried to avoid responsibility even after the incident. Seo Young-jae, the new representative who took office on the 10th, has the biggest task as the new representative on how to catch the two rabbits of the owner's responsible management amid management stabilization and continuous major disasters.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응고물 발생, 경유 냄새 등 신고가 제기된 하이트진로(000080)의 주류 제품 2개의 생산 현장에서 술 주입기 세척 미흡 등 식품위생법 위반 사항이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하이트진로 주류 제품에서 발생한 응고물 및 이취 문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최근 소비자들로부터 접수된 신고에 따른 것으로,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에서 생산된 ‘필라이트 후레쉬’와 ‘참이슬 후레쉬’ 제품이 대상이었다. 식약처가 응고물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된 '필라이트 후레쉬' 제품과 관련해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 등을 조사한 결과, ‘필라이트 후레쉬’에서는 주입기의 세척 및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젖산균에 의한 오염이 발견됐다. 주입기를 세척·소독할 때는 세척제와 살균제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데, 지난 3월 13일, 3월 25일, 4월 3일, 4월 17일 등 4일에는 살균제가 소진돼 세척제로만 주입기를 관리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품 내 응고물이 생성됐다. 하이트진로는 이에 대해 118만 캔을 자발적으로 회수했다. 한편, ‘참이슬 후레쉬’에서는 경유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있었으나 내용물에서는 경유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제품의 뚜껑과 병 재질 차이로 인해 완전한 밀봉이 어렵고, 이로 인해 외부에서 미량의 경유 성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식약처는 최근 식품 제조공정이 자동화되고 배관 설비 등이 많아져 세척 및 소독 공정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식품 제조가공업체의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식약처는 모든 식품 제조가공업체에 대해 제조 공정의 철저한 관리와 정기적인 세척 및 소독을 강조하면서, 위반 시 엄격한 행정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혔다. 한편, 하이트진로는 이번 사태에 대해 지난 7일 사과문을 내고 “제품의 이취, 혼탁으로 인해 소비자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렸다”며 “제품을 믿고 구매해 주신 소비자 여러분들과 여러 거래처 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힌 바 있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서울고등법원이 전공의와 수험생 등이 제기한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에 대해 각하 또는 기각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은 차질 없이 진행될 전망이다. 서울고법 행정7부(재판장 구회근)는 18명의 의대 교수와 전공의, 수험생 등이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의대 증원 취소 소송의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항고심에서 각하 또는 기각을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1심 재판부는 전공의와 수험생 등 원고가 의대 증원 처분의 직접 당사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집행정지 신청을 각하한 바 있다. 소송 요건을 갖추지 못해 법원이 원고의 주장을 판단하지 않고 재판을 종료하는 결정을 의미하는 각하는 대학 총장이 처분의 직접 당사자임을 이유로 들었다. 2심 재판부는 의대 교수, 전공의, 의대 준비생들의 신청을 1심과 동일한 이유로 각하했다. 그러나 의대 재학생들의 원고 적격성은 인정하면서도,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한 필요성’은 인정되나,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신청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의대생 신청인들의 학습권이 헌법과 교육기본법, 고등교육법 등에 따라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서도, 의대 증원이 의료개혁이라는 공공복리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집행정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재판부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의 질은 우수하지만 필수의료와 지역의료가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필수의료·지역의료 회복을 위한 기초 전제로서 의대 정원 증원 필요성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항고심 심문에서 재판부의 요구에 따라 의대 증원 규모와 배정 기준 등의 자료를 제출했다. 재판부는 이번 결정문에서 “2025년부터 매년 2천명씩 의대 정원을 증원할 경우 의대생들의 학습권 침해 우려가 있다”며 “향후 의대 정원 증원 시 대학의 의견을 존중해 학습권 침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계 소송대리인은 “의료계와 정부 모두 패소할 경우 대법원에 재항고할 예정”이라며 “대법원이 신속히 처리하면 이달 말까지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 판결로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의료계 간의 대립이 계속되는 가운데, 대법원의 최종 판결이 주목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Seahbesteel, which has recently been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due to a series of serious disasters, is again under social criticism. Due to safety accidents that have lasted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prosecution has sought an arrest warrant for the company's CEO Kim Chul-hee and other executives, the Gunsan branch of the Jeon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said. This is because Seahbesteel has repeatedly suffered disasters due to reduction in subcontracting costs and insensitivity to safety, ignor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SG management for charges of violating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Representative Kim publicly vowed at the National Assembly's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s parliamentary audit in October 2022, saying, "We will try to ensure that all workers can work in a safe and healthy environment.“ However, this promise of Kim's representative Kim's promise. Since the first law, the safety management department is clear, such as five workers died in three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law. Seahbesteel was killed in a forklift accident loaded with cheonggang products on May 4, 2022, and on September 8 of the same year, there was a death due to a jamming accident. In March 2022, a tragedy occurred in which two workers who were cleaning the combustion tower were burned to death. In addition, last month, one subcontract worker died during pipe cutting. The incident shows how serious consequences can be for the absence of responsible management by corporate owners and management. In particular, CEO Kim failed to come up with fundamental safety measures even after the previous accident, Rather tha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accidents, it was urgent to take a temporary measure to pass on the problem to subcontractors. The prosecution said,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recurrence of serious disaster cases in Seahbesteel," adding that it will continue to cooperate with the Employment and Labor Administration to respond strictly according to evidence and legal principles. This is to protect the lives and safety of workers and to emphasize the fulfillm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Industry experts point out that this should be a significant business turning point for Seahbesteel.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companies and the restoration of social trust, strengthening the fundamental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uthentic ESG management are essential. It is hoped that this major disaster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aise alarm not only for Seahbesteel but also for the entire domestic industry.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금융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가 지난 3월 11일 회의를 통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의 불완전 판매와 관련된 5개 주요 은행의 대표 사례를 심의한 결과, 투자자 손실에 대한 배상비율을 30%에서 65%로 결정했다고 5월 13일 밝혔다. 이번 조정은 금융감독원이 주관했으며 각 은행별로 하나의 대표 사례가 선정돼 결정됐다. 조정 결과에 따르면, 모든 은행의 대표 사례에서 설명의무 위반 사실이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은행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등 포함된 과거 20년간의 투자 손실률을 고지하지 않고, 10년 혹은 15년 간의 손실 위험만을 안내하여 투자 위험을 왜곡하거나 누락했다. 또한, 개별 사례에서는 적합성 원칙 위반도 발견됐다. 일례로,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형식적으로 분석하고 부적합한 상품을 권유하는 사례가 있었으며 일부 사례에서는 판매직원이 신탁통장 표지에 오인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하는 등 부당권유 금지 위반도 있었다고 분조위는 전했다. 은행별로 보면, 농협은행의 대표 사례 배상비율이 65%로 가장 높았고, 이어 국민은행이 60%, 신한은행과 SC제일은행이 각각 55%, 하나은행은 30%로 결정됐다. 이번 배상비율 결정은 금융당국이 향후 분쟁 조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될 것이며, 은행과 투자자 간의 추가 분쟁 조정 절차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나머지 조정 대상에 대해서는 자율 조정 등의 방식으로 처리할 계획이며, 이미 5개 은행은 지난 3월에 발표된 ELS 분쟁조정기준을 수용하여 자율배상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번 조정안이 투자자와 은행 간의 배상 규모에 대한 이견을 얼마나 해소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다. 은행은 30~60%의 배상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일부 투자자들은 최대 100%의 보상을 요구하며 집단소송도 준비 중인 상황이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류승우 기자 | 올해로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이하며, 재난현장에서 오랜 기간 봉사해온 전연순 작가가 심도 깊은 경험을 담은 신간 『세월호로 출가했습니다』를 출간했다. 이 책은 저자가 재난현장에서 겪은 고독과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그 속에서 깨달은 사회적 삶의 가치와 중요성을 일깨우는 기록이다. 전연순 작가는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재난현장에 가장 오랫동안 머물렀던 인물이다. 그는 출가를 결심하며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목소리를 높였고, 이 책에서는 언론에서 다루지 않은 현장의 이야기들을 솔직하게 담아냈다. 작가는 특히 재난현장에서 봉사자로서 가져야 할 자세와 태도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을 바탕으로, 현장의 진실을 세밀하게 조명하고 있다. 그녀는 "봉사는 멀리서 들려오는 메아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피해자의 눈물을 들을 줄 알고, 목소리를 볼 줄 알아야 한다"며, 재난현장에서의 극도의 주의와 중도적 결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책은 세가지 섹션을 두고 있으며, 제1부에서는 새벽 3시에 왜, 달려갔는가, 제2부 재난의 시대, 제3부 사실과 진실 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보여준 대한민국 사회의 아픔과 상처, 그리고 그 속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과정을 진솔하게 담아내며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하고 있다. 이미숙 시인은 "작가의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임동창 피아니스트는 "생생한 기록을 통해 깨어나는 경험"을, 심규상 오마이뉴스 기자는 "사회적 삶에 대한 깨우침을 얻기까지의 기록"이라고 평가했다. 『세월호로 출가했습니다』는 잊혀져 가는 세월호의 진실을 다시 한 번 일깨우며, 사회적 재난 현장에서 우리 모두가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중요한 메시지를 던진다. /서울=류승우 기자 invguest@itimesm.com ## 저자 : 전연순 작가 ## 전남 나주출생. 2012년 금비예술단 창단하고 매년 정기공연, 경허선사 열반 100주년 기념 특별공연(2012), 헝가리 원광사 공연(2013), 일본 교토 이총공원 공연(2016, 2019), KBS 골령골 다큐인사이트 진혼무 출연(2021) 외 다수 공연. 세월호 재난현장에서 금비예술단의 활동과 봉사로 2018년 문화체육부장관 표창, 2019년 미수습자가족 대변인과 장기간의 봉사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 대전민예총 회원이고, 현재 금비예술단장으로 활동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