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계룡건설산업[013580]이 시공 중인 서울 마포구의 문화공간 조성 건축공사 현장에서 또 다시 참담한 인명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로 50대 하청업체 근로자 A씨가 사망했다. 사고 당시 지하 2층에서 작업 중이던 A씨는 지상 1층에서 떨어진 개구부 덮개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이러한 비극은 현장 관리의 부실함과 안전 불감증이 낳은 결과라는 비판이 거세다. 부실한 관리, 반복되는 후진적 사고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사고가 상하 동시작업 금지 규정 위반과 규격에 맞지 않는 개구부 덮개의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계룡건설의 안전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다시 한 번 여실히 보여준다. 사고 현장에서 기본적인 안전 수칙조차 지키지 않은 점은 충격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상하 동시작업 금지 규정을 위반한 것은 기본적인 안전 수칙조차 무시한 처사”라며 “이러한 후진적인 사고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몇 만원에 불과한 개구부 덮개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점은 안전 관리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의심케 한다”고 덧붙였다. 이승찬 회장의 ESG 경영은 어디로? 계룡건설의 이승찬 회장은 준법, 환경, 투명 경영을 강조하며 ESG 원칙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러한 원칙이 전혀 실현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 회장이 내세우는 ESG 경영이 단순한 구호에 불과하며, 현장의 안전 관리와 근로자 교육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단순한 작업 중 사고를 넘어,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며 “이승찬 회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철학이 실제 현장에서 구현되지 않는다면 이는 기만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계룡건설, 현장 관리 부실 언제까지? 계룡건설[013580]의 부실한 현장 관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8월에도 경남 함양~울산 고속도로 건설 공사 현장에서 덤프트럭에 의해 20대 미얀마 출신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2021년 10월과 2022년 3월에는 새만금 수변도시 매립공사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사망 사고가 일어났다. 이 외에도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별관 신축공사, 경기도 시흥시 은계보금자리택지 조성공사 현장에서도 사망 사고가 발생해 국토교통부로부터 ‘매우미흡’ 등급을 받은 바 있다. 이 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계룡건설의 근본적인 현장 관리 문제를 드러낸다. 현장 안전 관리비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안전 규정 위반이 만연한 상황에서 근로자들의 생명은 계속해서 위협받고 있다. 계룡건설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현장 관리 시스템 전반을 재점검하고, 철저한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철저한 적용 필요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건설 현장에서 인명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중대재해법은 노동자 사망 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계룡건설의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철저한 적용과 함께, 기업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강력한 감시와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계룡건설은 이제 더 이상 안전 불감증에 의한 인명 사고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 이승찬 회장은 책임 있는 자세로 현장 안전 관리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야 할 것이다. ■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제보하기 ▷ 전화 : 1661-8995 ▷ 이메일 : invguest@itimesm.com ▷ 유튜브, 인스타 뉴스 구독해주세요!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Recently, the police launched an investigation after a case in which the residence of the Full Gospel Gangnam Church, a member of the Full Gospel Church in Gangnam, was transferred to the personal possession of Pastor Choi Myung-woo of Jesus Wish Church. Pastor Choi Myung-woo of the Full Gospel Jesus Wish Church is suspected of converting his church house to private ownership, The church members applied to the court to suspend the resolution and were accepted. Police are investigating three pastors from the Full Gospel Gangnam Church, including Pastor Choi, on charges of breach of duty under the Specific Economic Crime Act. The church members are raising suspicions of corruption and demanding a thorough investigation. The incident is a case that reveals corruption and structural problems of church leadership beyond church property issues, and is expected to have a big impact on the Christian community. Issue Dig Up.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강남에 위치한 순복음예수소망교회 최명우(전 순복음강남교회)목사가 전에 담임을 맡고 있던 순복음 교단 소유의 사택인 아파트를 개인 소유로 전환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후, 경찰이 사건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1월 데일리연합 이슈보도탐사팀에서 순복음예수소망교회에서 발생한 500여억 원 사기와 부동신 편취 의혹을 보도한 후 5달 만으로 YTN, 연합뉴스 등 일부 공중파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서울 수서경찰서는 특정경제범죄법상 업무상 배임 혐의로 순복음 교단 소속 목사 3명을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A씨 등을 불러 조사하는 등 정확한 사실관계부터 파악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 목사가 개인 소유로 전환한 사택은 교인들의 헌금으로 마련한 교회의 사택이다. 하지만 지난해, 이 사택의 임차권이 돌연 최명우 목사에게로 넘어갔다. 최 목사는 이미 금품 수수 등의 비리로 징계를 받고 순복음강남교회의 담임 목사직에서 물러난 상태였다. 더 놀라운 사실은 순복음강남교회의 일부 교인들이 이러한 상황을 수상히 여기고 문제를 제기했으나, 교회 지도부는 긴급 당회를 열어 사택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겠다고 결의한 것이다. 이에 교인들은 법원에 결의 효력을 정지해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했고, 법원은 절차의 부적절성을 이유로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교회 지도부는 결정을 뒤집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지 않았고, 오히려 묵인하는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문제는 교회 사택이 넘어간 같은 날 교단 선교비를 관리하던 목사 B씨가 10억 8천여만 원을 최명우 목사가 담임으로 있는 순복음예수소망교회의 계좌로 송금한 것이다. 이는 사택 전세보증금과 정확히 일치했다. 교단 측은 이를 위로금 명목으로 사택 임차권을 이전했다고 설명했지만, 교인들은 계속해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번 혐의에 대해 최명우 목사는 해당 사택 부동산의 전세 비용을 본인이 부담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교인들은, 그렇다 해도 최 목사가 탈세를 시도했을 수도 있다며 세금 문제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데일리연합 이슈보도탐사팀이 국세청에 문의한 결과, 세금 신고나 납부에 대한 내용은 제3자에게 알려줄 수 없어 확인이 불가하다고 답변했다. 해당 의혹은 추후 경찰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또 다른 제보에 따르면 2023년 5월 기준 서울수서경찰서에는 사기, 업무방해, 재물손괴 관련 사건으로 순복음예수소망교회와 관련해 또 다른 사건이 접수된 건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경찰에 정보 공개를 신청하면서 2차 고소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여러 사건이 불거지자 일각에서는 수시로 미국을 오가고 있는 최명우 목사의 출국정지 요청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최 목사가 수사망을 피해 도주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다. 서울 수서경찰서의 발빠른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사건들은 단순한 교회 재산의 문제가 아닌, 목사와 교회 지도부의 비리와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는 사건으로 기독교계에 적잖은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교인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국내 개신교의 현실 속에서 이번과 같은 비리 의혹은 교회에 대한 교인들과 사회의 신뢰를 크게 잃게 만들 수도 있다. 현재 순복음 교단의 교인들은 교회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요구하며 교회 지도부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순복음강남교회와 그 지도부는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진정성 있는 노력을 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A from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was electrocuted while classifying wire cables in the electric room on the first basement floor of Yeonsinae Station on Line 3 in Seoul. The incident occurred around 1:36 a.m. on the 9th.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n investigation into whether it violated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It is known that A was working on the vacuum circuit breaker panel disconnection with two junior employees and was working on attaching stickers to high-voltage cables. Colleagues at the scene immediately called 119 paramedics and performed CPR on A, but A died after being taken to a hospital. Unlike usual, the work was done without the cable power cut, so we decided to conduct an autopsy to determine the exact cause of death. Issue Dig Up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At around 7:30 a.m. on the 6th, two workers who were diving to reinforce the intake tower valve were sucked into the water and died at Unmun Dam in Cheongdo, Gyeongsangbuk-do. As a result, another loss of life occurred at the Unmun Dam site, where a similar accident occurred three years ago, raising awareness about safety management problems at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bor and others, workers were reportedly sucked in by water pressure when the valve opened for an unknown cause while reinforcing the intake tower valve at a depth of 3 meters. The accident site was constructed by Daewoo E&C, and all the dead workers belonged to subcontractors. Police are investigating the circumstances against the public business system, and the Labour Party has launched an investigation of the accident, and the Labor Safety Act. Issue Dig Up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서울 연신내역에서 전기작업 도중 감전사한 50대 노동자의 비극이 전해졌다. 유가족과 동료들은 깊은 슬픔에 잠겨 있으며, 정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서울교통공사( 서울메트로, 대표:백호) 소속 A씨(53)가 서울 3호선 연신내역 지하 1층 전기실에서 전선 케이블을 분류하는 작업 중 감전사했다. 이 사건은 지난 9일 오전 1시 36분경 발생했다. A씨는 후배 직원 2명과 함께 진공차단기(VCB) 패널 단전 작업 중이었으며, 고압 케이블에 스티커를 붙이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현장에 있던 동료들은 즉시 119 구급대를 호출하고 A씨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으나, A씨는 병원으로 이송된 후 끝내 숨을 거두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 경영책임자 리스크 확대 서울교통공사 백호 대표가 미래지향적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ESG 경영을 실천한다면서 소비자(고객)의 안전과 사실인정 등 사회적 책임을 등한시한다면, 이는 불을 보듯 기업의 최종 결제권자인 오너나 대표이사의 책임경영 리스크로 번질 것이 자명하다는 점을 잘 인지하길 바란다. 이번 사고 현장은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 대상으로, 이 법은 노동자의 사망 등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고 예방 의무를 소홀히 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2022년 1월 27일,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의 사업장(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에 우선 적용되었고, 5∼49인 사업장에는 유예기간 2년을 거쳐 지난 27일 시행되었다. 본사 이슈탐사보도팀과 인터뷰한 철도전문가에 의하면 "지하철은 전기중 1호계와 2호계 사이 타이반이 있는데 타이반은 한쪽 전기가 살아있다."라고 말하며 "이때 착각하여 전기가 살아있는 선을 만진 것이 아닌가"라고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고를 당한 분은 연차가 높은 배테랑이신걸로 알고 있는데 같은 동료의 입장에서 너무 가슴이 아프다. 다시는 이런 사고나 나지 않도록 철저하게 수칙에 맞춰 진행해야 한다."고 말을 이었다. 천하를 얻고도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말처럼, 천하보다 소중한 것이 사람의 목숨이다. 이번 중대재해를 계기로 백호 대표의 입에 발린 ESG 경영, 즉 안전·보건·환경(HSE)이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가치인 안전 등을 증명하고 실효성 있게 나타내기를 바란다. A씨는 1995년 서울교통공사에 입사해 29년 동안 전기설비 업무를 맡아온 베테랑이었다. 또한 그는 세 자녀의 아버지로, 막내는 초등학생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고인의 아내는 빈소에서 동료들을 보며 "출근하는데 얼굴도 못 보고 잘 갔다 오라는 인사도 못했다"며 오열했다고 전했다. 서울교통공사는 현장사고 수습대책본부를 구성했으며, 국토교통부는 초기대응팀을 급파해 사건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은평경찰서는 고용노동부와 함께 정확한 사건 경위를 조사하는 한편,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A씨의 부검은 10일에 예정되어 있다. 평소와 달리 케이블 단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결정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작업 안전 절차를 재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동료들은 "좋은 친구를 잃었다."라며 깊은 애도의 뜻을 표했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발생한 임시 ID 유출 사건을 두고 카카오와 개인정보위의 법적 소송이 예고된 가운데, 향후 개인정보를 두고 업계에 큰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건은 약 70만 명의 카카오톡 이용자 정보를 해커가 탈취해 판매한 것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카카오에 약 151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그러나 카카오는 이에 불복하고 소송을 예고했다.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은 최근 정례 브리핑에서 "카카오는 피해를 입은 고객들에게 개별 통지를 하지 않았고, 피해 사실도 신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개인정보 유출이 확인된 696명에게도 통보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6만 건 이상의 개인정보가 거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임시 ID와 회원일련번호가 개인정보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 카카오는 “회원일련번호와 임시 ID는 단순한 숫자 문자열로 개인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아 개인 식별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다른 정보와 결합했을 때 개인정보로 식별될 수 있으면 이는 개인정보에 해당한다"고 반박했다. 개인정보 보호 전문가들은 임시 ID가 결합을 통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로 간주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최경진 가천대 교수는 “연계정보가 다른 개인정보 파일과 함께 있었고 이를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되었기 때문에 이는 개인정보 유출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IT 플랫폼의 특성상 임시 ID와 같은 연계 정보의 사용이 많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의 기준이 되는 결합의 용이성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별도의 관리 원칙을 세우고 이를 준수하면 개인정보보호법 적용의 예외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이 향후 IT 기업들에게 큰 부담을 안길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카카오는 임시 ID를 개인정보로 보지 않아 유출 사건을 신고하거나 피해자에게 통지하지 않은 결과, 151억 과징금과 별개로 과태료 780만원까지 받았다. 이는 개인정보를 다루는 수많은 IT 기업들에게 더 큰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맞춤형 광고’ 역시 개인정보 문제와 연결된다. 웹·앱 방문 내역, 구매·검색 이력 같은 이용자의 온라인 행태정보를 분석해 개인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정보가 오랜 기간 쌓여 특정 데이터와 결합될 경우 개인정보로 간주될 수 있다. 개인정보위는 이러한 행태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려 했으나, IT 기업들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관련 기술 기업을 운영하는 대표는 "이번 사건을 두고 논란이 많다. 임시 ID가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행태 정보 등 다른 정보와 결합돼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지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임시 ID와 같은 정보를 앞으로 어떻게 관리할 지이다. 더 안전한 보안 기술과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가이드를 함께 만들어가야 더 발전적인 논의가 될 것 같다"고 조언했다. 이번 카카오톡 임시 ID 유출 사건은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킨다. 개인정보위와 IT 기업들은 보다 명확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경북 청도군 운문댐에서 잠수 작업을 하던 근로자 2명이 물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써 3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던 운문댐 현장에서 또다시 인명 피해가 발생하여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북소방본부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6일 오전 7시 30분경 경북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 운문댐에서 취수탑 밸브 보강 작업을 위해 잠수 작업을 하던 근로자 2명이 물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구조대는 50대 근로자를 10시 13분, 20대 근로자를 11시 15분에 각각 심정지 상태로 발견했으나, 병원으로 옮긴 후 결국 두 명 모두 사망 판정을 받았다. 노동부 등에 따르면 근로자들은 수심 3m 지점에서 취수탑 밸브 보강 작업을 하던 중 알 수 없는 원인으로 밸브가 열리면서 수압에 의해 빨려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현장은 대우건설이 시공하는 현장으로, 숨진 근로자들은 모두 하청업체 소속이었다. 2021년 2월에도 같은 운문댐 건설 현장에서 하청 노동자가 암석에 깔려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2020년 4월, 노동건강연대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구성한 '산재사망 대책 마련 공동 캠페인단'은 대우건설을 '2020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꼽은 바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사고 발생은 대우건설의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백정완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2022년 3월 취임 당시 "안전을 경영일선에서 가장 우선하고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며 ESG 경영을 강조했다. 그러나 대우건설의 잇따른 사고로 인해 백 대표의 이러한 발언은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안전 관리가 본사 직원에서 하도급사로 내려갈수록 관리 체계가 허술해지고, 이는 지속적인 사고로 이어진다는 현실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끊임없는 사고에 대해 대우건설 백정완 사장의 오너 리더십에 식각 한 위기가 초래하고 있음을 자각해야 할 것이다. 또한 책임경영 실천에 말보다는 행동으로 옮겨야 할 것이다. 본사 직원에서 벗어나 하도급사로 내려갈수록 업무 강도, 관리체계는 지속적으로 사고로 이어지는 게 현실이기 때문에 안전관리 형태의 형식적 문제가 아닌 재하도급 지배구조 및 비용감축문제 안전관리 미개선이 가장 큰 문제로 자리 잡는다. 대우건설 백정완 사장의 시선은 한곳에 머무러면 안된다. 본사와 하청업체를 떠나 최종결정권자인 대표가 무리한 업무진행 된건 없는지, 안전관리비용을 충분히 투자하고 있는지 구조적으로 떨어질수밖에 없는사항은 없는지등 안전에 대한 총괄적인 시스템의 문제는 없는지를 체크해야 할 것이다. 안전 관리의 형식적 문제가 아닌 재하도급 지배구조와 비용 감축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된다. 백 대표는 본사와 하청업체를 넘어 최종 결정권자로서 무리한 업무 진행과 안전 관리 비용의 충분한 투자 여부 등을 점검하고, 안전에 대한 총괄적인 시스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경찰은 공사업체 등을 상대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며, 노동당국은 사고 원인과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소홀히 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한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경영진의 책임 있는 행동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천하를 얻고도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말처럼, 사람의 목숨이 무엇보다 소중함을 인식하고 안전 관리에 실효성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기범 기자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그 아름다움을 만끽하는 순간, 우리는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낀다. 별이 지면 여명 빛에 물들어가는 그 아름다운 순간은 더욱 감탄을 자아낸다. 마치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밤하늘의 별처럼 빛났던 학도병들의 숭고한 희생이 오늘날의 찬란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었듯이 말이다. 1950년 9월, 장사리 전투에 참전한 학도병들은 조국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쳤다. 그들은 아직 어린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전장에 나섰다. 그들의 희생은 어두운 밤하늘을 밝히는 별처럼 빛났고,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평화와 번영의 기초가 되었다.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이들 학도병들의 희생은 우리의 가슴 속에 영원히 빛나는 별과 같다. 그들의 숭고한 정신은 우리에게 큰 감동을 주며, 그 덕분에 우리는 여명 빛에 물든 아름다운 아침을 맞이할 수 있었다. 그들이 없었다면 오늘의 대한민국도 없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이들의 희생 덕분에 찬란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밤하늘의 별을 보며 느꼈던 그 감동처럼, 우리는 학도병들의 숭고한 정신에 깊이 감사한다. 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우리는 이 아름다운 나라를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장사리 학도병들의 숭고한 희생에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전하며, 그들의 용기와 헌신을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다짐한다. 밤하늘의 별처럼, 그들의 빛나는 희생은 우리 마음속에 영원히 남아 있을 것이다. 이 기사를 통해 장사리 전투에 참전한 학도병들의 숭고한 희생에 감사의 마음을 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The recent Osong disaster is raising serious questions about Kumho E&C ESG management. Kumho E&C CEO Cho Wan-seok is embroiled in a whirlwind of legal responsibility as he is named the final payer for the temporary embankment project. In the disaster caused by the collapse of a temporary embankment at the site of the expansion of the Mihocheon Bridge in Osong, the head of the site and the head of the supervision were sentenced to the highest court sentence, CEO Cho Wan-seok's theory of responsibility is being highlighted again. On the 31st of last month, the Cheongju District Court sentenced the field director A and the supervisor director B to 7 years and 6 months in prison, respectively. This made it clear that the insolvent leve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disaster.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최근 발생한 오송참사는 금호건설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에 심각한 의문을 던지고 있다. 금호건설 조완석 대표는 임시 제방 공사의 최종 결재자로 지목되면서 법적 책임의 소용돌이 속에 휩싸였다. 지난 1월 취임한 조완석 대표는 금호건설의 플랜트 사업뿐 아니라 주택, 건축, 토목 분야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공공 수주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예고했다. 그러나 오송참사로 인해 그의 리더십과 경영 철학이 큰 도전에 직면했다. 오송 미호천교 확장공사 현장의 임시 제방 붕괴로 발생한 참사에서 현장소장과 감리단장이 법정 최고형을 선고받으면서, 조완석 대표의 책임론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주지법 형사5단독 정우혁 부장판사는 지난달 31일 현장소장 A씨와 감리단장 B씨에게 각각 징역 7년 6개월과 6년을 선고했다. 이로 인해 부실 제방이 참사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점이 명확히 드러났다. 시민사회는 금호건설 최고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 관계자는 “최고책임자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앞으로 더 중요하다”며 “기업이 꼬리자르기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조완석 대표가 주창한 ESG 경영이 단순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안전 관리와 근로자 교육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기업의 윤리적 경영과 책임 있는 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한편, 금호건설의 시장 신뢰도는 주가에도 반영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호건설 주가는 최근 395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교보증권은 금호건설 목표주가를 종전 6500원에서 6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1분기 실적 부진과 연간 실적 추정치 하향에 따른 것이다. 한국기업평가 역시 금호건설의 기업신용등급(ICR)을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으로 변경했다. 이는 수익성 저하와 운전자본투자 등에 따른 현금흐름 약화로 재무 부담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오송참사는 금호건설이 ESG 경영을 실천하는 데 있어 중대한 시험대가 되고 있다. 조완석 대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욱 철저한 안전 관리와 근로자 교육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과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금호건설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Coupang's responsible management, announced in May last year, is facing a crisis as Coupang Logistics Services is under fire for manipulating the district bidding system, receiving sexual hospitality and bribery. On January 10,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courier union held a press conference in front of Coupang's headquarters on manipulating the Coupang bidding system, He condemned Coupang's cheating and called for a thorough investigation, cleansing, and the abolition of the open bidding system. The courier union claims that it has detected the situation that the delivery area was unfairly allocated by providing bribes and sexual hospitality to Coupang CLS managers to win a bid for the area at the Coupang CLS Gyeonggi-do's detailed agency. According to a Coupang official, "Coupang CLS quickly investigated related employees on the report and took strict measures," adding, "We will also take appropriate measures depending on the results." Issue Dig Up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이하 '쿠팡 CLS', 공동대표 이선승, 강용오 홍용준)가 구역 입찰 시스템 조작, 성접대 및 뇌물 수수 등 구설수에 오르면서, 지난해 5월 발표한 쿠팡의 책임 경영이 위기 국면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계속되는 쿠팡CLS-일부 대리점 간 성접대-뇌물 의혹 지난 1월 10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은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 입찰 시스템 조작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의 부정행위를 규탄한다며 철저한 전수조사와 클렌징 및 공개입찰제의 폐지를 촉구했다. 택배노조는 쿠팡CLS 경기 세부 대리점에서 구역을 낙찰받기 위해 쿠팡CLS 관리자들에게 뇌물·성접대 등을 제공, 배송구역을 부당하게 배정받은 정황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택배노조 측에 따르면, 쿠팡의 행태가 택배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배송구역 배정 문제는 택배노동자들의 수익과 생계에 직결되는 민감한 문제로 그동안 쿠팡CLS는 평소 클렌징과 공개입찰제를 통해 계약기간이 남아있음에도 배송구역을 수시로 회수하고 배정해 상시적 고용불안을 낳고 있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모든 택배노동자가 자신의 구역에서 나오는 물량을 배송하는 것은 계약서에 명시된 기본 사항"이라며 "쿠팡CLS는 계약서상의 한 문장을 악용해 구역을 강제로 회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뇌물과 성접대를 통해 구역을 양도하는 불법 행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철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게 빼앗은 구역을 뇌물·성접대 등을 통해 다른 대리점에게 양도하는 불법적이고 비열한 방식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 폭로됐다"며 "이를 제공한 자와 제공받은 자에 대해 엄중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석운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 상임대표는 "쿠팡CLS의 제반 시스템이 뇌물·성접대의 구조적 원인을 제공한 것이 아닌지와 이런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상 표준계약서 사회적 합의를 이행할 용의가 없는지 방침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기자회견에 대해 쿠팡 측은 "쿠팡CLS는 제보 사안에 대해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신속하게 조사해 엄정하게 조치했다"며 "현재 조사하고 있는 사안 역시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제보팀장 제보로 재조명, 쿠팡 측 "허위 사실로 법적 대응할 것" 경고 최근 쿠팡CLS의 성접대와 뇌물 의혹은 언론사 통합 제보 플랫폼인 제보팀장 보도를 통해 한 번 더 재조명됐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한 제보자가 쿠팡CLS의 임직원들이 위탁업체(대리점)으로부터 성접대 및 뇌물수수를 받았다며 녹취록과 자료 등을 제공하며 제보를 해왔다. 제보팀장이 공개한 녹취록, 사실관계확인서 등 자료에는 쿠팡CLS의 위탁업체 임직원이 쿠팡CLS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성접대를 하고 뇌물을 수수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들이 포함돼 있다. 녹취록과 제보자 증언에 따르면, 쿠팡 CLS 임직원들은 위탁업체 관계자들에게 성접대를 받고 현금 뇌물을 수수한 후 중요한 물류 권역을 직접 배정받는 등 부당한 혜택을 주었다. 제보자는 "위탁업체 대표가 직접 뇌물을 제공했다"며 이번이 단순한 일회성 사건이 아님을 주장했다. 제보자에 따르면, 위탁업체가 쿠팡 CLS 임직원들에게 성접대와 뇌물 수수를 하는 데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 쿠팡 CLS는 쿠팡의 물류를 담당하는 회사로 물류 권역을 위탁업체들에게 입찰식으로 배당하는데, 쿠팡 CLS 임직원에게 뇌물수수와 성접대를 하면 중요한 물류 권역을 입찰 방식이 아닌 직접 배당식으로 선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경쟁하는 타 위탁업체들 보다 편의와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보자는 쿠팡CLS의 위탁업체가 이번 사안에 대한 쿠팡 본사의 조사 결과를 회사(위탁업체) 내부에 공지했다고 밝혔다. 제보팀장이 입수한 공지문에는 내부 신고자들의 이름과 함께 "신고자들의 일탈과 잘못된 행위로 페널티를 받게 됐으며, 앞으로 이와 같은 신고가 발생하면 위탁업체 자신들의 생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권고의 내용이 담겨 있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제보 당시 제보팀장 측이 제보에 대한 입장을 듣기 위해 쿠팡 측에 접촉했지만 쿠팡 측에서는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취재 결과, 쿠팡 측은 성접대, 뇌물 수수 등 이번 사안에 대해 "모두 허위 사실"이라며 강경한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쿠팡 관계자는 "제보자가 악의를 가지고 제보팀장에 거짓 제보를 한 것 같다.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내용을 배포-보도한 것으로, 법무팀에서 법적 대응을 진행 중이다"고 일축했다. 한편 제보팀장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현재 반부패 수사대의 수사망에도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인천-전남 등 각 지역 경찰청 반부패 수사대가 제보팀장에 가입해 인지 수사를 위해 자료를 요청했고, 5월 27일 경찰청 반부패 수사대와 제보자의 만남이 약속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이 추후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보자와 접촉했지만 연락이 되지 않았고 수사와 관련해 확인된 내용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 쿠팡CLS, ESG 경영 돌입 1년만에 '도마' 오르나? 쿠팡에 대한 성접대 및 뇌물수수 의혹이 거듭 거론되면서, 쿠팡의 책임 경영은 선포 1년만에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쿠팡CLS는 지난해 3인 각자 대표이사로 전환하면서 책임경영 강화를 통한 고객경험 혁신을 발표했다. 당시 쿠팡CLS는 강현오 운영부문 대표이사, 이선승 신사업부문 대표이사, 홍용준 경영지원부문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3인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사회, 지배구조 등 윤리 경영을 포함하는 ESG 부분을 맡은 홍용준 대표이사는 CLS의 기업법무 전반을 담당하며 컴플라이언스, 안전보건, 인사 등 ESG 경영 강화를 위한 업무에 집중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연이은 성접대-뇌물 수수 의혹이 쿠팡CLS의 책임 경영 발표가 허물뿐인 가짜 개혁에 불과하며, 쿠팡의 책임경영의 부실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책임경영 발표 당시 홍용준 대표이사는 “CLS는 차별화된 운영 정책과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존 물류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개선해 오는 등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불거진 의혹이 업계에서 이뤄져 온 관행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는 시각이다. 공격적인 마케팅과 시장 선점으로 국내 no.1 이커머스로 성장한 쿠팡.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을 통해 쿠팡과 자회사인 CLS가 책임경영을 통해 구설수를 잠재우고 나아갈 수 있을지, 아니면 계속해서 의혹을 떠안고 갈지 세간의 시선이 주목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Suspicions have been raised that a group of MG's branches, which caused great controversy due to the bank run scandal last year, tried to defraud the property worth 110 billion won through internal collusion, which is expected to have a ripple effect. According to a report obtained by iTimesM, a large group of 21 Saemaul Geumgo branches in Busan, including Daeyeon 6-dong Saemaul Geumgo, refused to cancel the sale of the stock because of the loss of the due profit, and plotted an internal collusion to hand over the property by designating a buyer in advance. The informant said, "At the meeting of the main delegation, an official of MG in Choeup-dong said, "The buyer is ready and has already received a letter of intent to bid." The bank presidents and executives of the MG Central Association could not have known about the matter, he said. "We need to quickly clarify whether the executives of the Central Association will intervene and their position.“ Issue Dig Up In particular, the internal unity of the chairman and executives of Daeyeon 6-dong and Choeup-dong MG, which are at the center of collusion, should also be thoroughly investig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working together to overcome the real estate PF crisis, if there was an illegal act in MG, it is expected to have a big impact on the financial industry as there is a problem with MG's internal soundness and management ethics.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메가MGC커피(윤영사 앤하우스, 대표 김대영)'의 큐브라떼 음료에서 바퀴벌레가 나왔다는 제보가 들어와 논란이 일고 있다. 언론제보플랫폼 제보팀장에 따르면, 지난 24일 한 제보자는 메가커피 부산 광복 2호점에서 큐브라떼를 테이크아웃해 집에서 두고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다시 마시던 중 음료 속에서 바퀴벌레를 발견했다. 충격을 받은 제보자는 어머니와 함께 해당 매장을 찾아 항의했으나, 담당자는 바퀴벌레가 제조 과정에서 들어갈 리가 없다며 보상을 거부했다. 제보자는 담당자에게 연락처를 남기고 매니저의 연락을 기다렸으나, 이틀이 지나서야 환불 처리만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제보자는 "이번 사건으로 매우 당황스럽고 화가 났다"고 심정을 전했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이 메가커피 관계자를 취재한 결과, 메가커피 관계자는 "해당 매장은 세스코의 정기적 검사로 해당 바퀴벌레가 매장에서 서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게다가 해당 매장은 주기적으로 세스코를 통해 위생 관리를 하고 있는 곳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로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내용도 허위다. 매장 관계자는 본사 컴플레인 매뉴얼을 따라 바로 제보자에게 사과했다. 메가커피는 세스코와 협약을 맺고 위생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이런 점을 꼭 알아주셨으 면 한다"고 해명했다. 메가커피는 국내 저가형 커피 브랜드로 3000호점을 돌파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편, 지난해 메가MGC커피는 사용하는 원두의 통관하는 과정에서 곰팡이 독소 성분인 오크라톡신A가 검출됐다는 논란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당시 메가커피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제품에 대한 인수를 거절하고 반송조치해 시중에 유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메가MGC커피의 규모가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운영사인 앤하우스 김대영 대표의 책임경영에 대한 기대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관심과 사랑으로 성장한 만큼 진정성을 인정받기 위해 특히 각 매장의 위생 관리와 고객 응대 방식에도 더욱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