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6.02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4℃
  • 구름많음강릉 19.1℃
  • 구름조금서울 25.4℃
  • 맑음인천 22.2℃
  • 맑음수원 24.3℃
  • 구름조금청주 27.0℃
  • 구름많음대전 26.4℃
  • 흐림대구 25.5℃
  • 구름많음전주 25.0℃
  • 구름많음울산 19.3℃
  • 구름많음광주 26.3℃
  • 구름많음부산 22.0℃
  • 구름많음여수 23.5℃
  • 흐림제주 22.1℃
  • 맑음천안 25.0℃
  • 구름많음경주시 21.0℃
  • 구름많음거제 23.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소강석, 통합추진위원장(한국교회총연합)은 “한기총에서 늦게나마 다시 한번 결정할 수 있었던 것은 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소강석 목사는 “연합의 중요성을 간파했다. 이제 한국교회는 희망 있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성용 기자 | 통합추진위원회 회장 소강석 목사는  교회 기관 통합을 위해 기도해 왔고, 늦게나마 결정하게 되어 감사했다. 

 

한국교회총연합과  통합추진위원회가  연합기관 통합을 위해 체결한 통합을 위한 기본합의서를 만장 일치로 통과. 

 

한기총이 지난 3월 30일 다시 임원회를 열고,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서 긴급 임원회를 열고 한국교회총연합과  통합추진위원회와 지난 2월 연합기관 통합을 위해 체결한 통합을 위한 기본합의서를 만장 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날 한국기독교 총연합회는 지난  7일 열린 기본 합의서를 부결 시켰다. 임원회가 절차상의 문제가 있다는 이의가 받아 드려져 다시 임원회를 연 것이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는 지난 달 7일 1차 임원회에서 한국교회총연합과의 통합 기본합의서를 부결시켰다.

 

하지만 일부 임원들이 회의 성수와 투표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이의서가 접수했다. 이에 한기총은 절차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 30일 제2차 긴급임원회를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날 회의는 고성이 오가는 난항속 정회와 속회를 반복한 끝에 결국 ‘기관 통합 기본합의서’를 통과시켰다.

 

회의결과 한기총은 오는 5월 30일 전후 임시총회를 개회 했고, 임시총회에서 한교총과의 통합을 결정하면 기본합의서에 따른 로드맵에 따라 통합을 추진하고, 통합이 무산될 경우에는 정회 후 6월 30일경 속회 해 새로운 대표회장을 선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성 임시대표회장은 “지난 7일 열린 임원회에 중대한 하자가 있다는 이의서가 들어와 하자를 바로 잡고자 재차 긴급임원회를 진행하게 됐다”며, “한교총과의 통합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기독교총연합회 김현성 임시대표회장은 한기총의 이익과 교계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통합이 성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 드리고 하나님께서 인도하시는 대로 잘 따라가면서 주워진 역할을 하겠다. 말했다.

한국교회총연합 통합추진위원장인 소강석 목사는 한기총 임원회에서 기본합의서가 통과된 만큼 한국교회의 연합에 더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끝으로, 한국교회총연합 소강석 통합추진위원장은 “한기총에서 늦게나마 다시 한번 결정할 수 있었던 것은 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연합의 중요성을 간파한 것이죠. 한국교회의 희망이 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라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2024년 부천보호관찰소 보호관찰 각계 분야별 위원 위촉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기범 기자 | 지난 3월 26일과 4월 16일, 법무부 산하 부천보호관찰소 특별 보호관찰 위원들이 위촉됐다. 활동 기간은 2024년 3월 26일부터 2026년 3월 26일까지 2년이다. 부천보호관찰소는 부천시 지봉로 53에 위치해 있지만 김포시까지 관할하고 있다. 이들 두 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부천보호관찰소의 총책임자 윤현봉 소장을 중심으로 관찰1과, 관찰 2과, 집행과 3개 부서 및 보호직 등 5개 직군 46명이 근무하고 있다. 기관 운영 기본 방향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재범 예방으로 안전한 공동체 구현인 만큼 외부 전문위원직 제도를 적극 활용 중이다. 각계 분야별 활동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도 감독 수행, 정신질환 대상자 선별 및 치료 체계 구축 등이다. 외에도 돌발 변수 관련 상황별 자문 역할도 자임하고 있다. 이런 사범별 연계 상담과 콜코칭 프로그램은 외부 전문가의 재능 기부가 얼마만큼 큰지 갱생 결과만을 봐도 알 수 있다. 콜코칭은 2023년 한 해 기준, 총 253회 상담 진행이 이뤄졌다. 20024년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그만큼 갱생의 제1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