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6.29 (토)

  • 구름조금동두천 31.8℃
  • 구름많음강릉 31.2℃
  • 구름많음서울 32.0℃
  • 구름많음인천 30.6℃
  • 흐림수원 29.2℃
  • 흐림청주 30.4℃
  • 흐림대전 29.9℃
  • 흐림대구 28.2℃
  • 흐림전주 27.3℃
  • 흐림울산 26.6℃
  • 광주 23.1℃
  • 부산 23.3℃
  • 여수 22.5℃
  • 제주 24.6℃
  • 흐림천안 28.4℃
  • 흐림경주시 30.0℃
  • 흐림거제 23.1℃
기상청 제공

국제

세계 저금 랭킹, 중국대륙 제3위, 미국 ‘말석‘


 저금
 
개인 혹은 국가적으로 수입저축 최대국가들은 석유생산국과 아시아 신흥국가들이다.
문화와 경제 요인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미국과 같은 국가들은 앞자리를 차지할 수 없다.
5월 17일 스페인 에페(Efe) 통신사 보도에 따르면 비록 많은 사람들이 월말까지 수입 잉여를 희망하지만 서방국가 사람들은 철저한 ‘월광족(月光族)’이다.
개인이나 공공 그리고 개인 수입, 수입 저금 랭킹이 근거한 데이터들은 모두 수입중 저금에 사용하는 그 부분 돈이 국내 총생산치(GDP)중 차지하는 비율이다. 낮은 세금 등 경제 요인이 발생하는 영향 외 문화 요인도 저금 수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국제 통화 기금, 세계은행과 미국 중앙 정보국이 발표한 2015년 ‘세계 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카타르, 쿠웨이트와 중국 대륙이 수입 저금 랭킹 앞 3위 국가들이다.
다른 방면 미국은 같은 기간 저금 최저국으로서 이는 미국의 낭비 전통과 관계된다.
경제학자들은 저금이 경제 발전에 대해 공로도 없고 잘못도 없다고 하지만 한 개 국가의 수입국 혹은 수출국 여부를 판단할 때 이 국가의 투자 상황과 저금 수준을 검토하게 된다.
세계적으로 저금 수준이 최고인 10개 국가와 지구들은 각기 카타르, 쿠웨이트, 중국 대륙, 한국, 보츠와나, 노르웨이, 네팔, 타이완, 투르크메니스탄과 인도네시아이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뉴스後) 인권위원회 김용원 "기레기 막말" 사과거부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김용두 기자 | 기자를 지칭해 "기레기"라는 막말로 논란을 빚은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26일 기자회견에서 "소신발언 할 수 있다" 기자들의 사과 요구를 거부했다. 취재진이 기자들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냐고 묻자 "비공개회의에서 발언한 것이고 그 내용을 사무총장이 그대로 소개했던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김 용원 상임위원은 앞서 13일 열린 인권위 상임위원회에서 "기레기들이 들어와 방청하고 쓰레기 기사를 쓴다" "인권 장사치들도 방청하고 회의 내용을 왜곡하고 인권단체가 무분별하게 인권위원 사퇴를 요구하는 작태가 벌어진다" 등의 발언을 하며 막말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사회단체가 자신에게 비판적인 언론을 ‘기레기(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비속어)’, 인권시민단체를 ‘인권 장사치’라고 폄하한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58개 인권단체가 모인 ‘경로이탈 인권위 바로잡기 공동행동’은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김 상임위원이 아무리 언론을 모욕하고 인권운동과 인권단체를 폄하해도 자신의 반인권 행위는 숨길 수 없을 것”이라며 “더 인권위를 망가뜨리지 말고 당장 사퇴하라”고 밝혔다. 김용원 인권위원의